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d라이브러리
"
유전공학
"(으)로 총 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스피어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으며 또 꾸려갈 수 있다. 나무만을 보고 숲을 알 수 없듯이, 유전인자만을 바라보는
유전공학
으로는 생물권을 이해할 수 없다.따라서 생물권Ⅱ와 같은 실험장치를 설치하는 것 말고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생물권Ⅰ이라는 우리의 현실적 생명부양계가 어떻게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연구할 ... ...
(2) 유해시비 붙은 식품첨가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이러한 이유때문이다. 따라서 요즈음에는 설탕이나 사카린 대신 소비톨(D-sorbitol)이나
유전공학
기법으로 제조한 아미노당(amino sugar, 예를 들면 그린스위트나 파인스위트같은 상품)과 같은 감미료로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맛과 감미료도 있어서 인공감미료에 비해 떨어지므로 인공감미료의 사용은 ... ...
Genes In Action 활동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손상되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젊음을 유지하는데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전공학
은 모든 사람에게 중요한 것이다.모든 것은 연관되어 있다. 지구위에 사는 생명체들의 다양성은 복잡하게 얽히고 부분적으로 중복되고 서로의 존재를 보호하도록 되어있다. 생태계는 다양한 식물과 ... ...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에 비유된다. 환경을 지키고 개선해 나가는 실천적인 시민 한 명을 길러내는 것은
유전공학
으로 수박만한 감자를 만들어 내는 일 못지않게 중요한 일이다. 그 한 명의 시민은 지구를 지키는 수많은 사람들을 잉태할 것이기 때문이다.환경교육의 힘이 어느 정도인지를 말해주는 재미있는 일화가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EMI의 영향은 집적회로처럼 밀집도가 크고 정밀한 부품을 많이 사용하는 장비일수록 민감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첨단 전파산업에 치명적인 적으로 대두되고 있다걸프전에서 이라크에 대한 다국적군의 대규모 공습이 있기 전날, 이라크와 그 주변지역에서는 모든 통신수단이 두절되고 심지어는 방 ... ...
유전공학
식품, 안심하고 먹을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어떤 위생상의 시비가 붙을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동시에 그들은 포유류의 성장호르몬(
유전공학
적으로 처리하지 않은)은 우리가 늘 먹고 있으므로 (고기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하등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반박한다 ... ...
1백년전 멸종됐던 쿠아가 부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얼룩말(zebra)에서 쿠아가의 유전자를 분리해내는 노력을 계속해왔다.멸종된 동물을
유전공학
적으로 재창조하는 일은 1980년대에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 진화생화학연구실에 근무하고 있던 러셀 히구치가 처음 제안했다. 히구치는 보존돼있던 쿠아가의 세포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DNA조각을 분리해내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재기술의 허약성이 세계적 수준에 육박한 한국 전자산업과 자동차산업의 뒷덜미를 움켜잡고 있다.10여년전 국내 가전회사의 한 중역은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있는 친구를 찾아와 "우리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소재 및 부품기술을 적어달라"고 부탁했다. "기업들이 비로소 이 분야에 관심을 가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장미로 장식된 것을 상상해 보라.그러나 이 장미는 아직 이 세상에는 없다. 멜버른의
유전공학
자들은 지금 다른 꽃 예를 들어 페추니아에는 있으나 장미에는 없는, 푸른 색을 띄게 하는 효소를 추출하는데 여념이 없다. 이 효소가 정제되면,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분리되어 장미나무에 이식될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합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세라믹스 복합재료 분야에 지금 새 바람이 불고 있다.소재라고 하면 오래도록 무조건 강한 것이 최고였다. 석기에서 청동기로, 다시 철기로 이어지는 도구사(史)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의 지능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새로 찾아낸 보다 강한 소재가 늘 소재의 왕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