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전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완성
마무리
극치
d라이브러리
"
완벽
"(으)로 총 2,30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어진 여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쓸지, 자기소개서를 책상에 붙여놓고 메모해 가며 오랜 기간 고민하도록 해.”누구나
완벽
하지는 못하다. 다만 자신의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게 중요한 일. 뒤늦게 하고 싶은 일을 정하면서 지금 당장은 불안한 마음이지만, 이 과정이 앞으로 J학생이 긴 인생을 살아가는 데 ... ...
잠에서 깬 5500년 전 가죽 신발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다.형태로 보아 오른발에 신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발견 당시 신발의 보존 상태는 거의
완벽
에 가까울 정도로 좋았다. 함께 발견된 염소뿔 아래 놓여 형태가 잘 보존됐고, 그 위로 염소 똥이 두껍게 쌓여 부패되지 않았다. 동굴의 기온과 습도가 낮아 신발과 함께 발견된 다른 도구들도 상태가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두 차례 발사 실패로 한국이 만든 상단로켓 기술을
완벽
하게 검증하지 못했다”며 “국민 정서를 보상하는 차원에서 3차 발사가 필요하지만 이 역시 실패하면 우주개발 사업 자체가 좌초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우주개발에 나설 기초체력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유전학의 토대를 만든 멘델과 DNA의 실체를 파악한 크릭, 왓슨이 없었다면 진화론은 결코
완벽
한 인정을 받기 힘들었다는 것이 이 원장의 설명이다. 이 원장은 “종의 기원이 발표된 후 16년이 지난 1865년에 등장한 멘델은 진화론의 입증에 머무른 것이 아니었다”며 “크릭과 왓슨은 다윈이 생각지도 ... ...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좌우 대칭처럼 보이지만 정확히 보면 양쪽이 조금씩 다르다. 곤충은 사람보다 훨씬 더
완벽
한 대칭에 가깝다. 몸집이 작을수록 양쪽의 미세한 차이가 활동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사람은 양쪽 손이 조금 달라도 큰 지장이 없지만 나비는 양쪽 날개가 다르면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생존에 위협이 ... ...
서로 닮은 수학과 법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없어요. 이 문제가 법정까지 간다면 판사는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 않아요.법체계가
완벽
하지 않기 때문에 법률가들은 좀 더 합리적인 법을 만들고자 여러사건을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법을 수정해 나가고 있어요.법과 수학의 매력에 빠진 사람들 ➌아서 케일리(1821~18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결국
완벽
한 원은 오직 우리들의 상상 속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지요. 그렇다면
완벽
하지 않은 원을 우리는 왜 공부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그 이유에 대해 알아봐요.이유1 수학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생겨요초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은 원을 구별하기 위해 동그란 모양을 찾습니다. 정확히 원이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느낀다는 것은 대단히 어렵습니다.플랫랜드 사람들은 진정한 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완벽
한 원이란 그들에게 신과 같은 존재인 것이지요.그런데 아까 플랫랜드에서는 변의 수가 많을수록 신분이 높다고 했지요? 변의 수가 많을수록 신과 같은 존재인 원에 가깝기 때문에 그런 모양입니다.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게놈은 10% 정도 다르다. 연구팀은 먼저 마이코이즈의 DNA 조각(뉴클레오티드)들의 순서를
완벽
하게 밝혀냈다. 그래야 제대로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이코이즈의 DNA 염기는 약 100만 쌍에 달한다. 이어 마이코이즈의 게놈과 동일하게 복제하기 위해 퍼즐처럼 DNA 조각들을 맞춰 완성했다. 인공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더 많이 터질 것으로 기대하며 어떤 팀이 우승할지 예상하기가 특히 어렵다고 말한다.
완벽
한 구형에 가까워 목표지점까지 정확히 도달한다는 평을 받는 자블라니와 대부분의 국가 대표팀을 긴장하게 만드는 고지대만의 특성 덕분이다. 어느 대표팀이 이번 월드컵의 ‘특별한 환경’에 가장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