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동아리계의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들어 오는 봄에는 보드게임 중 하나인 ‘루미큐브 대항’을 펼쳐 친밀감을 키운다.
여름
방학을 앞둔 시기에는 ‘수학티셔츠 만들기’를 하면서 서로의 작품을 뽐낸다. 가을에는 학교축제인 ‘백합제’와 외부 대회에 출전할 UCC 작품을 만든다. 특히 겨울에는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인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시뮬레이션 해보자. 겨울에는 성층권 기류 변화로 화산재가 북반구에 집중되지만 만일
여름
에 분출했다면 거의 지구 전체에 화산재가 분산된다. 이로 인해 지구의 평균온도가 단기간에 10℃ 정도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이 정도라면 강수량이 줄어들고 농작물 생육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되며 열대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개발하고 있다.디지털 배우를 포함한 컴퓨터 그래픽의 도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올
여름
개봉 예정인 영화 ‘미스터고’에서는 온몸이 털로 뒤덮이고, 야구를 잘하는 고릴라가 등장한다. 고릴라가 등장하는 컷만 무려 1000컷이다. 고릴라가 야구를 한다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관객들은 얼마나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하여금 극한으로 실제감을 느끼게 할 것이다.올
여름
기대작, 3D 음향으로 무장한다
여름
을 앞두고 어마어마한 자본이 투입된 대규모 영화들이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 그 선두에는 ‘미녀는 괴로워’ ‘국가대표’로 익숙한 김용화 감독의 신작 ‘미스터고’가 있다. 허영만 화백의 만화 ‘제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지은 이스트게이트 쇼핑센터는 흰개미 집을 흉내낸 것으로 냉방시설 없이도 한
여름
실내온도가 24도 안팎이지요. 이렇게 건물을 지으면 에너지를 약 30% 절약할 수 있어요."흰개미는 친환경플라스틱도 만들어. 나무의 셀룰로오스를 잘라 포도당을 만들고 이것을 젖산으로 소화하거든. 과학자들은 ... ...
드론 격추하는 레이저 무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미 해군이 소형 함선을 파괴하거나 무인정찰기(드론)를 격추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무기를 해상에 배치할 계획이다.레이저무기체계(LaWS)는 2014년
여름
에 시험 가동 예정이다.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판매량을 알고 싶을 때 회귀분석을 이용한답니다.통계를 통해 알게 된 질병의 과학
여름
철 대표 전염병하면 콜레라를 빼놓을 수 없어요. 지금은 의학이 발달해 콜레라로 인한 사망자가 많지 않지만, 19세기에는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공포의 대상이었어요. 콜레라는 콜레라균에 의해 심한 ... ...
나누는 기쁨, 더하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한 것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10월에 열리는 과학축전 준비를 위해
여름
방학 때도 학교에 나와야 했지만, 합격 소식을 듣고 모두가 동아리실에 모여 환호성을 지를 정도로 큰 기쁨과 성취감을 느꼈다고 한다.그렇게 바라던 과학축전에 참가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어요. 게다가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건조한 대기가 도시 외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고립되면 대기 질도 나빠진다.
여름
철에는 특히 바람이 불지 못하면서 고온 현상이 지속되기도 한다(2파트에서 자세히 다룬다). 이런 고온 건조 현상을 완화하려면 녹지를 차츰 늘려야 한다. 다만 잔디보다는 나무를 심는 게 중요하다. 잔디는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기온 4℃ 오른다20세기 100년 동안의
여름
철 기온과 폭염 발생빈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여름
철 평균기온이 1℃ 상승하면 서울의 폭염발생일은 8.8일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기상청이 공개한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에 따르면, 21세기 후반(2100년)까지 강수량은 증감을 반복하지만 기온은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