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d라이브러리
"
언어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인공와우다. 작은 마이크로 소리가 입력되면 이를
언어
합성기를 통해 코드로 바꿔 발신기에서 신호를 발신한다. 이런 장치들은 모두 몸의 외부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피부에 삽입된 수화기가 발신기에서 보내준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전기신호는 ... ...
점이 뚱뚱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들 가운데는 수학과 관계가 없는 사람도 많은데, 한 예로 이 분야에 크게 공헌한
언어
학자 미하엘 시사우를 들 수 있다.n×n으로 배열된 점을 한글 자음 ‘ㄹ’ 모양으로 (2n-1)개의 직선을 연결한 것을 ‘자명한 해’라고 하자. 지금까지 얻은 결과에 따르면 'ㄹ' 모양을 만드는데 필요한 직선의 최소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애플릿이라는 이름이 붙었다우리가 말로 서로간에 대화를 하듯이 전자 악기는 미디라는
언어
로 통신을 한다 원래 미디는 전자 악기간의 통신 규약을 말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소리가 나는 키보드나 모듈'을 칭한다 예전의 미디는 미디 인터페이스만 있고 외부로 미디모듈이나 키보드를 연결했으나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제공한다. 인간의 뇌는 침팬지보다 3배 가까이 크다. 미국 워싱턴대의 워터스톤 교수팀은
언어
능력의 진화와 관련이 깊은 FOXP2라는 유전자가 사람의 진화과정에서 크게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그러나 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힐 교수와 크리스토퍼 월쉬 교수는 이번에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 ...
도둑 발목 잡는 철통보안 동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행동한다. 이것은 물리적 환경이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증거”라며 “환경은 비
언어
적인 커뮤니케이션”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게 감시가 이뤄지는 장소, 여럿이 모이는 활기찬 거리에서 더 안전하게 느끼는 반면 낙서나 파손으로 열악해진 환경은 통제와 ... ...
나는 몸으로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어떤
언어
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려면 학습이 필요하듯이 춤도 마찬가지다. 몸의
언어
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려면 끊임없는 연습이 필요하다.춤을 추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해보라. 거기에는 분명 감성뿐 아니라 이성도 존재한다. 이성의 눈으로 춤을 바라보자. 춤의 주위에는 인류학, ... ...
4. 리듬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이어 작품으로 구현해내느냐에 따라 관객이 얼마나 공감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언어
에서도 분절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아기다리 고기다리 던데이트’라는 문장은 분절이 잘못됐다.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데이트’라고 해야 비로소 뜻이 통한다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실행효율이 좋은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한다는 두가지 목표를 가지고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
1968년 스위스 쮜리히공과대학의 N워스교수가 개발했다 파스칼은 배열 레코드 파일 등 풍부한 데이터구조를 가지고 있어 프로그래머 자신이 데이터형을 정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조건문 등 ... ...
1. 백조가 더 이상 여자일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의미가 다를 수 있다.춤도 마찬가지다. 영국
언어
철학자 넬슨 굿맨은 그의 책 ‘예술의
언어
’에서 “전세계 공용어가 없듯이 세계 각국의 무용은 서로 성격이 다르다”고 적고 있다. 그래서 춤도 해석이 필요하다. 동작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알고 제대로 번역해야 춤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사실 학생의 적성이 어떤 학과에 적합한지 알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언어
능력, 공간지각력 등 수학능력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에 가깝다. ‘전개도의 모양을 유추하시오’라든가 수열의 특징을 찾아내는 식의 문제는 과거 수능시험에도 많이 등장했던 것들이다.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