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d라이브러리
"
양쪽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경과한 뒤 편안한 상태에서 임종을 맞았다.복강신경총파괴술복강신경총은 요추 1번
양쪽
에 있는 신경덩어리다. 이를 국소마취제로 차단하면 대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그 시간이 짧아 알코올을 투여해 파괴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다. 우선 국소마취제로 차단해 복부나 등쪽에 나타나는 통증이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그린 후 사진을 찍으면 필름에는 가느다란 틈새가 만들어진다. 여기에 빛을 쬐면 틈새의
양쪽
에 희미한 줄무늬 가닥을 볼 수 있다.(그림5) 빛이 회절한다는 성질이 밝혀짐으로써 입자설은 곤경에 빠졌다. 입자는 틈새를 그냥 통과할 뿐 퍼지지 않기 때문이다. 입자론 측은 곧 그럴듯한 설명을 ... ...
당신의 체형은 정상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못한다.또 한쪽 다리만 길면 대장과 소장이 처지면서 변비나 설사가 계속되기도 한다.
양쪽
다리의 길이가 다른 것은 구두 뒷굽의 마모 정도로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김회장은 "비대칭적인 몸을 바로 잡는데는 몸을 균형적으로 만들어주는 운동이나 체조를 꾸준히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 ...
4. KAIST 해커 구속 사건이 남긴 이야기 "배우면 써보고 싶은 게 사람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방어 전문가는 또한 공격 전문가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공격과 방어
양쪽
중 어느 쪽에 자신의 준거를 두느냐는 전적으로 개인의 판단에 맞겨야 할 성질의 것일까.불행히도 현재로선 아무런 방법이 없다. 우리는 바야흐로 네트워크가 꿈꾸는 정보민주주의에 대해 심각한 고민이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입체감이 느껴진다.③ ①,②의 방법으로 입체그림이 보이지 않으면 조그만 책을 준비해
양쪽
그림 사이에 수직으로 세운 뒤 눈 운동을 하면 쉽게 입체그림을 볼 수 있다.▶교차시의 방법①눈을 사시 상태로 한다. 그래도 시선을 유지한 후 앞쪽에 그림을 놓고 초점을 맞추면 입체감이 느껴진다 ... ...
수지침 - 인체의 축소판, 손을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왼발이 아프면 오른손의 첫째 손가락이 아니라 왼손의 다섯째 손가락이 치료 대상이다.
양쪽
손을 한꺼번에 치료하면 기(氣)가 지나치게 몰려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손에는 14기맥과 3백 45개의 치료점이 있다. 이 치료점들은 모두 오랜 임상 실험을 거쳐 밝혀진 것이다. 즉 손의 특정부위에 침을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때문이었다.행운은 빨리 찾아왔다. 11시 30분 1km 전방에 황새가 발견됐다. 모두 4마리였다.
양쪽
에 함께 있던 왜가리와 백로는 황새의 우아함을 돋보이게 하는 존재에 불과했다. 자동차를 조심스럽게 몰다 멈추는 일을 여러차례. 그러나 2백m 근방에 이르렀을 때 황새는 모두 날아갔다. 조교수는 "2월 ... ...
1. 일상에서 첨단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면을 계면(interface, 기체와 접촉하는 면은 표면)이라고 한다.깁스는 두 상 사이에서
양쪽
의 밀도가 중간 점이 되는 지점을 계면으로 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계면은 물질 내부와는 달리 높은 에너지 상태에 있는데, 이 에너지를 계면 에너지 혹은 계면 장력이라고 부른다.순수한 물질의 표면장력은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너무 길어지다 보면 쌍방 모두 망해버리는 수가 많습니다. 비록 법적 능력은 없지만
양쪽
의 이해관계를 조정해, 되도록 모두에게 피해가 적은 쪽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지요.”오박사는 과학기술자의 모델을 어린 학생들에게 제시하고자 책을 만들기도 했다. 오박사는 “KAIST 졸업생이나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앞서 얼마만큼의 잠재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고 싶어한다. 결혼할 때
양쪽
가계를 알아본다거나, 어린아이의 재능을 보고 성인이 된 후의 모습을 예측기도 한다.이런 맥락에서 지능지수라는 것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지능검사는 프랑스의 심리학자 비네가 학습장애아를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