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용
유익
실천
실제
유효성
d라이브러리
"
실용
"(으)로 총 1,505건 검색되었습니다.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전지가 개발되면 대규모 전력저장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도
실용
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가 개발되면 밤중에 싼 값의 심야전기를 충전시켜 낮에 직장으로 출퇴근할 수 있게 되어 전기절약뿐 만 아니라 무공해 차량으로서 환경오염 방지에도 크게 기여하게 되는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위해 '기초연구에의 의존도'를 과거에 비해 높였기 때문이다. 기초과학의 이론이
실용
가능한 기술적 성과로 나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과거에는 백년단위에서 수십년 단위였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제 그 간격이 1년 혹은 수개월에 불과하므로 '기초과학에서의 쇠퇴는 기술개발에 곧 영향을 미칠지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ASC 스타100 일리악Ⅳ가 겪는 비참한 운명을 잘 지켜보았다. 그리곤 보다 안전하고 확실한
실용
적인 길을 선택했다. 그가 항상 신념으로 삼는 것은 다음의 경구였다. '개척자는 싫다. 바로 그 다음이 좋아. 그 다음은 개척자의 실수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거기서 중대한 교훈을 얻을수 있기 때문이다.' ... ...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독일에서 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은 방학을 이용해 총 26주의 공장실습과정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지금 유학 현장에서는'이라는 제목의 글을 '과학동아'로부터 부탁받고난 뒤의 몇 주는 이제 근 6년에 접어드는 나의 독일 유학생활을 다시 한번 정돈해보는 기회가 되었다.유학이 소수의 선택 ... ...
차세대원전 「몬주」 내년 10월 점화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구미 각국의 개발열기가 시들해진 가운데 일본은 고속증식로
실용
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차세대원전으로 일컬어지는 고속증식로의 ... 상업로 BN800의 건설에 착수하는 등 순조롭게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고속증식로
실용
화의 승패는 세계 원자력이용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반도체를 이용하는 전자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미국의 대메이커들은 전자스틸카메라를
실용
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착수했다. 그러나 이 연구개발성과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상품화하기 시작한 것은 일본 기업들이었다.1981년 8월 일본의 소니사는 도쿄 도라노몽호텔에서 은염필름이 필요없는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NASP) 개발계획은 1985년 미국방부와 미항공우주국(NASA)의 주관으로 시작됐다. 우선 장래의
실용
적인 우주항공기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개발해 X-30이라는 연구기를 제작, 시험함으로써 그 기술을 실증하는 것이다. 기체제작 3사와 엔진 제작 2사가 용역업체가 돼 각기 X-30 기체와 추진시스템을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기대를 할수는 없다. 과학적인 원리를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이 어느정도 축적돼 있으면 곧
실용
화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엔 좋은 아이디어라해도 사장되는 예가 적지않다.그러나 당장 응용성이 희박한 과학은 모두 쓸모없다는 식의 사고는 기초 과학의 성장을 저해한다"고 꼬집는다.KIST의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매우 유리하다. 아직은 기술수준이 미비하나 기술개발에 의해 제조원가가 낮아지면
실용
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기술은 생물공학의 핵심기술의 하나로서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생분해성 농약 그리고 생물학적 폐수처리 등에 응용될 수 있다.지금까지 예로 든 신기술은 주로 화학공학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표면의 원자 모양을 볼 수 있는 STM은 1981년 IBM 취리히 연구소의 비닉(Binnig)등이 개발,
실용
화했으며 이 업적으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 현미경은 두 도체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면 도체 사이에 접촉이 없어도 간격이 아주 좁아질때 (1백만분의 1㎜이하)음극쪽의 도체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다른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