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정사각형을 풀어 헤치면 길이가 같은 4개의 변을 얻고, 이때 한 변의 길이는 정사각형
면적
의 제곱근이 된다. 그러니 개평방술(開平方術)은 제곱근을 구하는 방법이요, 개입방술(開立方術)은 세제곱근을 구하는 방법이다.동아시아 전통수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고전인 ‘구장산술’(九章算術)은 ... ...
대체 에너지 '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한다 메커니즘은 아직 대부분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전파가 전달될 때 단위
면적
을 통과하는 전자파의 에너지량고등식물속에서 볼 수 있는 푸린 염기의 하나로 화학식은 ${C}_{8}$${H}_{10}$O₂N₄ 브라질의 커피콩에 1∼15%, 동양의 차잎에 1∼15%, 열대아프리카의 콜라열매에 3% 등으로 존재하는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서울을 비롯한 경기도 지역에서 그나마 일식다운 일식을 볼 수 있다.가려지는
면적
이 크지 않기 때문에 맨눈으로 일식을 관찰하기는 다소 위험하다. 구름이 엷게 끼어 있는 날이라면 맨눈으로 한쪽을 베어 먹은 듯한 태양을 구름 사이로 볼 수 있지만 맑은 날이라면 강렬한 태양빛에 눈을 다칠 수 ... ...
21세기형 만능 공장 디지털 팩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이런 예를 들어드리면 되겠군요. 최근에 저희가 대한제철소를 지었습니다. 사실 제철소
면적
만 100만m²가 넘거든요. 어마어마한 넓이죠. 반응장치가 수천 개고, 반응장치 한 개도 이 방보다 큰 경우가 대부분입니다.그런데 제철소 전체를 모델링하면 컴퓨터 한 대에 제철소가 다 들어갑니다.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이를 소실점이라고 한다. 선도 마찬가지다. 수학적으로는 점의 연장이며 길이만 있고
면적
과 부피는 없다. 그러나 그림에서 선은 색의 경계를 나눌 뿐만 아니라 모든 물체의 윤곽을 결정한다.원근법은 바둑판 모양의 촘촘한 그물을 현실공간에 덮어씌운다. 눈높이를 기준으로 모든 사물이 소실점을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전통수학에서는 도형에 대해 각과 변의 관계를 따지는 기하학보다는 실제 수치를 대입해
면적
을 구하는 방식의 대수학이 발달했다. 따라서 16세기 말 서양 기하학이 전해지기 전까지 중국과 한국의 수학사에서 원의 중심각을 다루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다만 원의 중심각을 정의하고 계산에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비해 충분히 두꺼운 감광층을 가진 감광재료를 써서 입체적으로 기록한 홀로그램평
면적
(1층)으로 되어 있는 초LSI소자를 입체적으로 쌓아 올려 집적도(集積度)를 비약적으로 높인 회로소자 다층구조소자(多層構造素子)라고도 한다 전신의 피부나 점막 등이 일반적으로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여러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본 근교 에펠스베르크라는 조그만 마을이었다. 왜냐하면 그 마을에는 안테나 지름이 100m,
면적
이 축구장 4개에 맞먹는 거대한 전파망원경이 있기 때문이었다. 마을 어귀에만 가도 커다란 전파망원경이 야외음악당처럼 보인다.30년이 지난 뒤인 2006년 10월 26일 필자는 에펠스베르크 100m짜리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따라서 중심점뿐만 아니라 중심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모든 점들을 무한히 더해도
면적
은 0이다.또 2차원 평면에서 모든 도형은 닫혀 있다. 삼각형을 예로 들면 서로 다른 세 개의 꼭지점을 잇는 선은 삼각형의 내부와 외부를 나눈다. 하지만 원은 중심과 반지름을 이루는 점들의 집합이므로 ... ...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전화 '먹통'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받는 힘의 방향이므로 전기력선의 접선 방향이다. 전기장의 세기는 전기력선이 단위
면적
당 얼마나 많이 지나가는지로 알 수 있다. 즉 전기력선이 촘촘한 곳에서는 전기장이 세고, 전기력선이 성글면 전기장이 약하다.또 어떤 공간 속에 전하들이 어떻게 분포돼 있는지는 몰라도 그 안에 양전하가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