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보도
정보
뉴우스
뉘우스
소문
신문
d라이브러리
"
뉴스
"(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뉴스
]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일반적으로 강은 오랜 시간 흐르면서 물줄기의 방향이 바뀐다. 하지만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지중해로 흘러나가는 나일강은 한 번도 물줄기의 방향이 크게 휘어진 적이 없다. 이는 과학자들이 풀지 못한 ‘나일강 미스터리’였다.클라우디오 파세나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지질과학과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기자 29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올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
를 선정했다. 1. 블랙홀 그림자 최초 관측 국제협력 프로젝트인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팀은 전 세계 전파망원경 8기를 동원해 얻은 블랙홀의 그림자를 4월 10일 처음으로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올라왔다. 10분간의 축구 경기가 끝나자 AI 기자가 경기 내용을 통계적으로 분석해
뉴스
로 만들었다. AI 경기 해설에는 한국과 미국에서 총 3개 팀이 참가했다. AI 해설가는 ‘What a fantastic combination(정말 환상적인 조합입니다)’라든지 ‘I’m worried about getting hurt(다치지는 않았는지 걱 ...
[수학
뉴스
] 비행기 연착, 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승무원 일정 짜기 문제’는 많은 항공사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어려운 수학 문제입니다. 복잡한 비행기 노선에 승무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해야 하는데,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같은 ‘작업 스케줄링’ 문제는 다항식 시간 내에 푸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NP-완전 문제’입니다. ... ...
[과학
뉴스
]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카메라도 셔터 속도보다 더 빠른 물체의 움직임은 포착할 수 없다. 나노 소자를 개발할 때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기술로는 전자와 같이 진동수가 10GHz(기가헤르츠·1GHz는 10억Hz)보다 빠른 전기신호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런데 최근 KAIST, 영국 국가표준 ... ...
[과학
뉴스
]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테라헤르츠파는 주파수가 0.3THz(테라헤르츠·1THz는 1조 Hz)에서 3THz에 이르는 전자기파다. X선 에너지의 100만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조를 볼 수 있어 미래 전파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테라헤르츠파 광원은 아주 적은 폭의 특정 테라헤르츠만 생성할 수 있어 활용하는 데 ... ...
[과학
뉴스
]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파충류와 포유류는 둘 다 네발 동물이지만 해부학적으로는 차이가 크다. 특히 파충류의 척추는 크기와 모양이 균일한 데 비해 포유류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복잡한 척추구조를 갖추고 있다.스테파니 피어스 미국 하버드대 유기체및진화생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포유류의 척추 구조가 ... ...
[그래픽
뉴스
] 골판지로 만든 미래 맥주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뉴스
를 선정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굿바이, 2019Part1.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Part2. 201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Part3. 2020 전망, 어떤 이슈가 주목 ... ...
[포토
뉴스
]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겨울철 눈송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특정한 무늬가 반복되는 프랙털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프랙털은 작은 조각이 모여 자신과 똑같은 형태의 전체 구조를 만드는 기하학적 형태를 말합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연구진은 ‘양자 물질’의 일종인 네오디뮴 니켈산화물(NdNiO3)을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