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한국형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외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서울대에서 A+ 학점을 받는 학생은 누구인가.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 근무하던 이혜정 박사는 서울대 2, 3학년 재학생 중 두 학기 연속으로 평점 4 ... 이 책은 SF라는 장르를 알고 싶은 독자들을 위한 미니맵이다. 각 시대별로 분류된 작품 속
나
에게 꼭 맞는 퍼스널 ‘SF작품’을 찾아보자 ... ...
나
만의 트랙에서 쌩쌩! 그래비트랙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과학은 재밌지만 물리 공부는 어렵다고? 그래비트랙스에서
나
만의 트랙을 만들고 액션 스톤을 굴려 봐. 중력을 받아 쌩쌩 달리다가 자기력으로 착! 재미있게 놀면서 물리 법칙도 배울 ... 드려요.자세한 내용은 그래비트랙스 카카오톡 채널을 확인하세요.#장난감이아닌하
나
의장르 ...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불의 제왕 섭섭박사! 열을 다스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이 과정이 반복되면 수조 속 물의 움직임에 따라 열이 고루 전달돼요. 이렇게 액체
나
기체가 가열돼 팽창하면 밀도가 낮아져 위로 올라가고, 차가울 땐 아래로 내려오며 전체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현상을 ‘대류’라고 한답니다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그림의 모양은 달라도 우리는 모두 원기둥 가족!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본책30쪽, 놀이북23쪽과 함께 보세요! 보통 각기둥에서는 모서리를 따라 잘라서 펼친다고 생각하고 전개도를 만들어요. 그러
나
원기둥의 옆면은 ... 선 하
나
를 그려 보세요. 이 전개도를 접어서 원기둥으로 만들면 선이 원기둥에서 어떻게
나
타날지 [2]번 원기둥 그림에 생각해 그려보세요 ... ...
[에프매스의 무의식 퍼즐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필요할 때면 무의식 세계로 들어가 시간을 보내곤 해. 하지만 소중한
나
만의 공간에 아무
나
들일 수 없지. 퍼즐을 푼 사람만 다음 세계를 구경할 수 있어. 곳곳에 숨어있는 퍼즐을 풀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를걸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가상 세계의
나
를 만들어주는 ‘합성곱’ 이해하기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메타버스는 3차원 가상 세계를 뜻하며 요즘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나
타냅니다. 겹쳐지는 파도는 이전의 두 개의 파도 모양을 모두 반영하면서도 새로운 형태로
나
타
나
죠 ... ...
[과동키즈] 이제는 없는 얼굴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책들이 새삼 고마운 이유다. 그 중에는 물론 과학동아도 있다. 과학과는 무관해 보이는
나
같은 화가에게도 과학은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소중한 시선이다. 아니 어쩌면, 말로 설명할 수 없던 것을 설명하는 언어라는 점에서 과학과 예술은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지도 모른다. 언뜻 보면 판이한 ... ...
[과동프렌즈] 꿈을 찾는 새로운 시작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보낼 수는 없다. 교내에서 탁구와 야구 동아리 활동을 하고, 시간이 날 때면 수영이
나
스키, 골프 등 다양한 취미활동을 즐기고 있다. 최근에는 어린 시절 갈고 닦은 미술 실력으로 커스텀 신발을 만들어 신기도 했다. 영재고 진학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해줄 말을 묻자 양 군은 “입시 준비도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변화시키면 색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었지요. 버트 교수는 “홀로그램이 음식의 종류
나
보관 방법과 관계없이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 에필로그“알아냈어요! 이 가짜 옹고집의 정체는 홀로그램이에요!”꿀록 탐정이 수사 결과를 발표했어요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이재형 천문대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다른 소행성의 위협이 아직 남아있거든요. 끊임없이 지구를 위협하는 지구 근접 천체들!
나
중에 이들이 정말 지구를 향해 다가온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여러분의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로 우주의 위협에서 지구를 지켜주세요! 과학동아 천문대 블루스타즈 활동 개시! 4월 15일 첫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