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억"(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어떤 자료를 한 번만 읽어도 다시 기억해 낼 수 있는 능력도 생겼어. 지금 생각해보면 내 기억력이 좋았던 게 다행이었던 것 같기도 해.”“수학 개념을 머릿속으로 상상하며 그려내다니, 정말 대단하네요.”“내 단점이 상상력과 직관력을 높여 준 원동력이라고 볼 수 있지. 필기를 안 하는 대신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여섯 번째 관문단청에서 찾은 도형태조의 초상화가 있는 정전을 빠져나갈 때 지나는 문이 있습니다. 바로 ‘내삼문’입니다. 내삼문에 있는 아름다운 무늬 그림은 어떻 ... 또 하나의 관문입니다. 관문을 통과한다면 먼 미래에 후손들이 우리의 얼굴을 오래오래 기억할 수 있지 않을까요 ... ...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중요한데, 필자가 추천하는 간단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은 ‘생각 찢기’다. 부정적인 기억이나 생각 때문에 힘들 때는 그것을 물리적으로 없애버리는 게 심리적으로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doi:10.1177/0956797612449176). 예컨대 나를 귀찮게 하는 직장 상사의 이름을 종이에 적은 뒤, 그것을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최근 접한 정보를 선택하는 걸 인지심리학에서 ‘최신 효과’라고 부릅니다. 우리의 기억 용량에는 제한이 있어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정보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이지요. 이런 최신 효과는 전화로 설문조사를 했을 때 가장 많이 생깁니다. 종이로 설문조사를 하는 경우에는 사람들이 보기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배울 새로운 지식을 어떻게 연결하면 좋을까요? 분수의 나눗셈과 연결된 개념을 모두 기억할 수 있도록 가장 기초적인 것부터 시작해 추론하면 좋습니다. 이제 다양한 분수의 나눗셈에서 단계를 거쳐 추론 과정을 따라가 봅시다.1. 자연수 ÷ 분수1단계 : 나눗셈을 포함제로 약속하고 소리 내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흘 전에 조사관과 나눈 통신 기록을 복기했다.‘계약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 뭔지 기억하고 있지요?’저장된 자료는 퇴색되지 않기 때문에 나는 어제 일처럼 또렷하게 떠올릴 수 있었다.‘예.’‘복제 육체는 잘 보존되고 있습니까?’‘마지막으로 방문하셨을 때와 똑같습니다.’‘내가 코드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은 재미있지만, 집에 도착하고 나면 그 맛은 주인이 주는 사료만큼 좋지 않다는 사실이 기억나 죽은 쥐를 부엌 바닥에 방치한다.” 고양이는 아마도, 본인이 야생동물인지 애완동물인지 헷갈릴지도 모른다.성격이 좀 더 좋은 고양이는 인간에게 다가와 핥거나 ‘야옹’ 거리며 놀아달라고 ... ...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심박수를 측정해 보았어요. 그 결과, 사용자의 심박수를 6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었고, 기억 장치의 길이를 20%씩 1000회 이상 늘였다 줄였다를 반복해도 문제없이 작동했답니다.김대형 교수는 “사람들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데 이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남자들은 동서남북 기본방향을 중심으로 목적지를 찾아가는 반면, 여자들은 연상기억법, 즉 ‘미용실을 지나서 직진하다가 가게가 나오면 우회전’하는 방식으로 길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해마는 기본방향 인지와 관련된 뇌부위다. 핀츠카 연구원은 “과거 남자들이 주로 사냥을 하고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멈췄을 때 출력한 숫자의 자릿수가 달랐다. 당시 로렌츠가 이용한 컴퓨터는 계산을 할 땐 기억공간(메모리)에 저장된 소수점 아래 여섯 자리까지의 수를 이용했지만, 프린터로 출력할 때는 소수점 아래 세 자리까지만 표시했다. 이런 차이는 단지 유효 숫자를 줄여 종이를 아끼기 위함이었다.어찌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