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짜디 짠 라면이 좋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9
말을 들은 사람은 오히려 몸무게가 늘어나고 비만이 될 확률도 6배나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어요. 연구팀은 그 이유로 놀림 때문에 생긴 스트레스를 폭식으로 해결하는 사람이 많고, 뚱뚱한 몸매가 부끄러워 짧거나 얇은 옷을 입고 운동하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닥터 그랜마도 ... ...
화성에서
발견
된 동물 다리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제가 지난 8월에 찍어 보낸 사진 속에서 사람들이 ‘동물 다리뼈’처럼 보이는 것을
발견
했어요. 저도 이 외로운 화성에서 친구가 생겼다고 무척 좋아했는데…. NASA 과학자들은 이것이 풍화작용으로 뼈 모양처럼 깎인 바위의 모습이라고 발표했답니다. 정말이냐고요? 지금까지 제가 화성 곳곳을 ... ...
TWINS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그 결과 쌍둥이 아빠와 아들에게 쌍둥이 삼촌에게는 없는 유전적인 돌연변이를
발견
했대.이 돌연변이가 쌍둥이 중 아빠에게만 나타나는 이유는 수정란이 분리된 직후에 아빠의 유전자에만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야. 엄마 뱃속에 있는 동안 환경에 의해 유전자에 변화가 생긴 거지. 이런 연구들이 ... ...
새의 조상은 공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7
코크대학교와 벨기에 왕립자연과학협회 공동 연구팀은 최근 러시아 시베리아에서
발견
된 공룡 ‘쿨린다드로메우스’ 화석을 관찰한 결과, 다리에 깃털이 나 있었다고 밝혔어요. 이 깃털은 길이가 1.5cm로 무척 짧았지요. 연구팀은 쿨린다드로메우스뿐 아니라 거의 모든 공룡들에게 깃털이 있었을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7
사는 과일박쥐의 피에서 바이러스를 죽이지는 않아도 무기력하게 만드는 물질을
발견
했다. 박쥐가 오랜 세월 동안 바이러스와 함께 살면서 면역력을 높인 셈이다.취재파일 4 담배를 이용하면 치료제를 만들 수 있다!안타까운 소식은 아직까지 에볼라 출혈열을 낫게 하는 치료제가 없다는 거야.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7
재기의 재미에 빠지게 되고 점점 수학도 좋아질 거야. 어느 새 수학을 잘하는 자신을
발견
하게 될 거고 말이야. 나 박 기자는 수학자대회를 계기로 수학이 더 좋아질 것 같아. 친구들도 수학과 친하게 지내 봐~ ... ...
뇌과학이 알려 주는 공부비법 5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7
운동이 뇌 신경세포에서 생산하는 단백질인 신경성장 유발물질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
했지.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 피닐라 교수는 신경성장 유발물질이 적으면 뇌가 새로운 정보에 대해서 문을 닫아버린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어.공부할 땐 집중해서 공부하고 놀 땐 잘 놀며, ... ...
철썩 철썩 쏴아~ 아름다운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벽을 장식할 바다 사진을 찍어 달라는 아내의 부탁에 파도 사진을 찍다가 멋진 재능을
발견
했다고 해요. 더 많은 사진은 클라크 리틀의 홈페이지(www.clarklittlephotography.com)에서 볼 수 있어요.잡힐 듯 말 듯, 눈을 속여라!파도는 왜 생기는 걸까요? 바로 바람과 지진파 그리고 달과 태양의 중력으로 인한 ... ...
원시인들은 무얼 먹고 살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아주 오래 전 선사시대에 살았던 원시인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요? 최근 스페인 과학자들은 농사를 짓기 훨씬 전부터 인류가 채소를 먹었다는 사실을 알아 ... 썩게 하는 충치균을 억제하지요. 실제로 이곳에서
발견
된 원시인 치아 화석은 다른 곳에서
발견
된 것보다 충치가 적었답니다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5
안 되지. ABO식 혈액형은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인 란트슈타이너 박사가 1901년에
발견
했어. 물론 1800년대에도 피를 많이 흘린 환자에게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하는 치료법이 쓰이고 있었지만 수혈을 받은 환자 대부분이 목숨을 잃었지. 혈액형의 구분 없이 수혈을 했기 때문이야.란트슈타이너 박사는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