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진
출의 길도 활짝 열려있다. 현재 우리 건설회사나 큰 석유관계 회사에서는 해외
진
출을 기도하고 있다. 이런 곳에서 지질학자들은 무한한 일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이런 큰 해외 건설이 지질조사 없이 또는 소홀히 이루어졌을 경우 예기치 않은 사고로 큰 손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최근 ... ...
나무 달력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나이테와 오랫동안 살아온 나무의 나이테를 맞추어보면, 그 재목(종종 통나무로 만들어
진
)이 얼마나 오래전에 베어졌는지 혹은 오래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어떤 특정한 나무조각의 연대가 측정되었는데, 그중 몇몇은 1천3백년 정도로 판명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사우스웨스트(Southwest)에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것은 가능하다. 생명이 없는 화학물질에서 생명이 탄생한다고 하는 복잡한 화학
진
화의 과정이 5억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왜 일어났는가. 그 수수께끼도 여러가지 새로운 정보입수와 함께 언젠가는 해명될것이 틀림없다 ... ...
세계 최초의 미사일 박물관 은퇴한 무기의 거인 TATAN Ⅱ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상당히 다른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도 하는데 안내원들은 추
진
체(booster)가 비어있고 재
진
입장치가 제외된것 이외에는 모두 원래의 모습 그대로라고 설명한다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따뜻해지기 어려워 비교적 저온이다. 거기에 수증기가 더해
진
다. 즉 상대습도가 높아
진
다. 무명은 흡습성(吸湿性·hygroscopicity)이 높아 잘 마른 무명이불은 하루 밤의 땀 정도는 거의 흡수해버린다. 그러나 방습성(放湿性·dampproofing)이 낮고 흡습성에도 한계가 있어 무명이불은 이튿날 햇볕에 말릴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일본수준의 우주개발주도국가 그룹에
진
입하는 것도 타당성이 있다. 이러한 계획을 추
진
하는 데에는 무엇보다도 꾸준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미·소를 제외한 각국 우주개발 예산은 GNP의 0.03%~0.09%정도 지출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GNP의 0.03%를 지출한다면 198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GNP가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많이 일어났다. 미국인의 이제까지의 일상을 온통 뒤흔들면서도 태양력은 수용되어
진
것이다. 로마에서 개정했다는 이유때문에 받아들이기를 꺼려했던 동방 그리스 정교 교회도, 청교도의 나라 영국도, 그의 식민지 초기에는 수용을 거부했고 그 수용의 과정에서 많은 혼란을 불러 일으켰지만 ... ...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도사공을 찾아냈다. 그 과정에서 강화도 외포리의 어류정이란 곳에서 폐선이 돼 버려
진
한선을 발견한 것은 큰 수확이었다. 또한 1986년 3월에 국립도서관 조선총독부 자료실에서 '어선조사보고서'란 책자를 찾아냈는데, 여기서 입수한 한선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한선의 모형을 만들 수 있었다. ... ...
적성과
진
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계발된다고 알려져 있다.어렸을 때 어떤 계기로 조금 흥미를 느껴 지속적인 관심을 가
진
분야가 있다면, 이는 적성계발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다. 그러나 학문을 할 생각으로 대학의 이공계를 선택한다면 최소한 고등학교에서 공부하는 수학이나 물리, 화학 또는 생물 정도로 나누어 자신의 흥미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있다. 컴퓨터로 움직인 근육은 열을 내지만 땀은 흘리지 않는다. 어떻게 식히는가가 남겨
진
과제이지만 반신마비인 사람이 걷게 된다면 페트로프스키 교수의 업적은 노벨상감이 될 것이다 ... ...
이전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