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99대한민국 과학축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과학문화재단에서 개발한 과학실험을 시범보이고 설명해주는 학생들이 자원봉사자라는
사실
, 또 이들이 인터넷의 자원봉사자 모집 광고를 보고 인터넷으로 신청했다는 것도 같은 맥락이 아닐까.통신 동아리인 하이텔 디지털 동호회가 마이크로마우스 미로 통과 대회를 개최한 것도 앞으로의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690년 헤벨리우스가 백조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만들었다.
사실
헤벨리우스가 이름 붙이기 전 프랑스의 천문학자 오귀스탱 로이어가 먼저 안드로메다자리 일부와 도마뱀자리 지역을 합쳐 루이 16세를 기리는 별자리로 그렸다. 또 약 1세기 뒤 독일의 천문학자 보데는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걸어 다니는 사람’이란 뜻)를 발견한 것이다.뒤부아의 생각은 단순했다. 만약 진화론이
사실
이라면 어딘가에 유인원과 인간의 모습을 모두 간직한 공동조상의 화석이 있을 거라는 것. 그래서 오랑우탄이 많이 사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 달려갔는데, 그의 생각은 적중했다.자바인이 발견된 후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것은 복부비만이 만병의 근원이라는 것과 체중을 줄이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
이다. 실제로 복부비만이 있는 사람이 정상 체중까지 빼지 않더라도 현재의 체중보다 10-15% 정도만 감소해도 비만과 관련된 질환은 현저히 호전된다.일반적으로 복부비만과의 마지막 전쟁을 지방제거술로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수 없는 영역이다. 인간이 5천2백m보다 높은 곳에 아무리 오래 머물러도 적응이 되지 않는
사실
에서 그곳은 신의 영역임에 분명하다. 인간은 다만 자연이 마련한 위험과 어려움을 뚫고 잠깐씩 신의 영역에 닿을 뿐이다. 8천m급 고봉을 12개나 오른 엄홍길씨는 이렇게 말한다. "히말라야는 신들의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시기와 일치하는 화석층에서 지구에서는 희귀한 원소인 이리듐층이 발견되면서 이러한
사실
이 신빙성을 얻게 됐다. 문제는 운석의 충돌 자국이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운석의 충돌자국은 풍화작용으로 인해 사라지지만 워낙 큰 충돌이었다면 어딘가에 그 흔적이 분명 남아있을 거라고 많은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입력하면 보드에 남는다.이 프로그램은 스크린세이버와 상관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보드 전체가 스크린세이버로 동작한다. 컴퓨터가 쉬고 있을 때 화면에 나타나 일정과 각종 메모를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필요할 때 바로 불러내는 것도 가능하다. 트레이에 보면 압정 아이콘이 있는데 이것을 ... ...
모든 술은 몸에 해롭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속의 특정 물질이 면역체계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
을 밝혔다. 연구진이 밝혀낸
사실
은 적포도주에서 붉을 색을 내는 산화방지성분이 면역체계 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회전 상태를 변화시키려는 토크가 작용하지 않는 한 계의 각운동량은 보존된다. 이러한
사실
은 피겨스케이팅 선수의 회전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이 양팔을 완전히 쭉 펴고 회전을 하다가 양팔을 가운데로 모으면 회전속도는 매우 빨라진다. 양팔을 가운데로 모았다는 것은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막강하다. 보통 태어난 지 한달이면 성체가 되고, 3주마다 10여마리씩 새끼를 낳는다.
사실
질환모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쥐는 1960년대에 우연히 발견됐다. 면역력이 결핍된 누드쥐나 당뇨병을 앓고 있는 뚱보쥐가 대표적인 예다. 당시 과학자들은 이들을 자연교배시켜 그 혈통을 보존해 왔다 ... ...
이전
1091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