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8,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자연선택의 일환이며 이는 자연의 순리라고 주장할 수 있다. 자연선택이라는 방패는
국제
사회의 약육강식을 숨기기에 더없이 좋은 피난처이다. 1920년대 미국 캔자스주에서 우생학적으로 완벽한 가족을 찾는 행사. 우생학하면 나치를 떠올리지만 여러 국가에서 널리 실행되고 있었다. ... ...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약 15도의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실험을 통해 발굴해 그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14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초전도체는 물질의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완전 도체’의 특성과, 주변 자기장을 밀쳐내 완전히 상쇄하는 ‘완전 반자성’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물질이다. 전기 ... ...
16일 오전 남극 상공에서 옛 소련 위성과 중국 로켓 파편 충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당시 생성된 20cm 크기 파편이 44m 거리까지 접근해 충돌 직전까지 가기도 했다. 올해
국제
우주정거(ISS)은 우주 쓰레기와 충돌을 피하기 위해 세 차례나 궤도를 수정했다. 전문가들은 재활용 로켓 개발 등 로켓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공위성 발사 비용이 낮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충격을 받으면 사람의 피부처럼 푸르스름하게 멍드는 소재가 개발됐다. 늘리는 힘을 가하자 소재가 푸르스름하게 변하는 것이 바로 눈에 보인다. 한 ... 센서 및 인공 피부로 응용 연구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0일
국제
학술지 ‘매크로몰레큘스’에 게재됐다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이런 이유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는 카드뮴을 발암 등급 1군으로 분류했다. ○카드뮴과 ‘손절’하려면 보조 물질 찾아야 결국 디스플레이처럼 인체에 밀접하게 닿는 분야에 사용하려면 퀀텀닷도 ‘카드뮴 프리’를 실천해야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빛을 스스로 내는 양자점(퀀텀닷) 발광다이오드(QLED)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5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LED 개발에서 푸른 빛을 내는 것은 마지막 난제로 꼽힌다. 푸른 빛이 다른 빛에 비해 에너지가 크다 보니 이를 내는 소재를 개발하기가 가장 어려워서다. 오랜 기간 큰 ... ...
QLED 기술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소자의 발광 효율 21.4%를 달성하고 소자 구동 시간을 100만 시간으로 구현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빛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소자에서 빛을 내는 퀀텀닷(코어) 표면 산화를 억제하고, 코어 주위를 둘러싸는 껍질인 쉘을 대칭 구조로 균일하게 성장시키면서 두께를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QLED 관련 기술을 네이처와 같은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 일부 공개하며 QLED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기업들이 사내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공개하지 않는 것과 달리 적극적인 공개 방식으로 기술 주도권을 잡고 있다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감염병은 중국 34개 성으로 급속도로 확산됐다. 우한시는 1월 23일 봉쇄됐다. WHO는 1월 30일
국제
공중보건의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이 감염병과 원인 바이러스에는 정식 이름이 없었다. 한국에서는 지역명을 쓴 ‘우한폐렴’이라는 명칭이 끈질기게 사용되고 있었다. 이 감염병과 ... ...
코로나19 항체 7개월까지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343명의 혈액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항체가 4개월이 지나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 8일자에 발표했다. 제니퍼 거머만 캐나다 토론토대 면역학부 교수와 앤 클로드 징그러스 분자유전학부 교수 공동연구팀도 코로나19 환자 402명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IgG 항체가 ... ...
이전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