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초고성능 나노여과막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04
녹여냄으로써 판 형태의 2차원 탄소 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극도로 균일한
크기
의 마이크로 기공들이 벌집 구조로 빽빽하게 배열된 2차원 탄소 시트들을 적층시켜 얇은 두께의 분리막을 제조했다. 연구팀은 이 분리막을 유기용매 나노여과에 적용한 결과 탄소 시트 기공보다 큰 용질을 ... ...
곤충 표면 본따 혈전 예방하는 인공 혈관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미세구조 제작에 활용되는 수십 나노미터
크기
입자를 이용한 제작법과 기존 마이크로
크기
제작에 널리 쓰이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융합해 유연한 고분자 재료로 톡토기 피부 표면 구조를 모방하는 데 성공했다. 모방한 피부 표면은 휘어진 경우에도 물과 기름을 쉽게 밀어내는 것으로 ... ...
100% 실리콘 전극 사용한 전고체전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교수는 “실리콘 웨이퍼 기반 전고체전지는 전기 자동차나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일반적
크기
나 초소형 배터리에도 접목될 수 있다”며 “이미 개발된 웨이퍼 제작 기술을 적용한다면 더 안정적이고 고성능의 배터리 개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
[주말N수학] '자연수 집합'과 '짝수 집합'
크기
는 같다?...수학 바꾼 '무한'
수학동아
l
2023.04.01
정의에 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해요. 예를 들면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중간
크기
인 무한 집합이 있을까’ 같은 질문을 하지요. ‘연속체 가설’이라고 알려진 문제인데요. 근데 아주 신기하게도 ‘현재의 수학 체계에서는 이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증명할 수 없다’가 증명돼 ... ...
소행성 구성성분, 인공지능 기술로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0
‘행성과학저널’에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소행성은 대부분
크기
가 작아 대형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해도 점으로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소행성 표면에 빛이 반사돼 드러나는 반사 스펙트럼을 통해 성분을 추정한다. 하지만 성분이 다른 소행성들이 겹쳐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 ...
"아프냐, 나도 아프다"...동료 고통 공유하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활발해지는 것이 관찰됐다. 실험에는 열대어의 한 종류인 ‘제브라피시’가 사용됐다.
크기
5cm 정도의 작은 열대어인 제브라피시는 온몸에 얼룩말 같은 줄무늬가 있어 이 같은 이름이 붙었다. 생명력이 강해 관상어로도 종종 사용된다. 최근에는 동물실험에서 쓰이는 경우가 확대되고 있다. 200~30 ... ...
[프리미엄 리포트]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과학동아
l
2023.03.25
sp2) 구조와 비정질(sp3) 구조가 혼재된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수십 나노미터
크기
의 탄소 입자로 만들어지는데요. 합성법은 크게 바텀업(bottom-up) 과정과 탑다운(top-down) 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텀업 과정은 탄수화물 등의 유기분자를 ‘태워서’, 탑다운 과정은 흑연, 석탄 등의 ... ...
영국서 유전자 교정 식품 식탁에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없는 양배추와 작지만 맛있는 양배추를 결합하는 식이다. 과학자들은 어떤 유전자가
크기
와 맛을 결정하는지 연구해 적용했다. 적재적소에 필요한 유전자를 삽입하면 새로운 품종을 훨씬 더 빠르게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전자 교정은 유전자 변형과는 다르다. 동식물의 유전정보가 담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있는 몇몇 아미노산이 프로피온산과 상호작용해 안정화시킨 결과다. 공간의
크기
는 탄소원자 2개인 아세트산과 3개인 프로피온산은 들어갈 수 있지만 4개인 뷰티르산부터는 들어가지 못하고 따라서 이들 큰 분자는 OP51E2를 활성화하지 못한다. 흥미롭게도 아미노산을 바꿔치기해 공간을 넓혀주자 ... ...
지구 최강 생존 '물곰', 온도 민감한 의약품 유통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0.5mm도 안 되는 타디그레이드는 '물곰'이라는 이름으로도 유명하다. 먼지 진드기만한
크기
지만 무려 4만 개의 세포로 이뤄져 있다. 5억3000만년전부터 살았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재까지 1150종이 발견됐다. 완전히 건조한 환경, 모든 분자 운동이 멈추는 영하 273도, 높게는 149도까지 견뎌내고 인간의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