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작
신설
창시
창설
독창
창안
천지창조
뉴스
"
창조
"(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 연구단’ 단장으로 선정됐다. 미래
창조
과학부는 지난해 연구단에 연구비 35억 원을 지원한 데 이어 2022년까지 연간 100억~120억 원을 투입한다. 김 교수는 두 소재를 융합한 경계면이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하이브리드(Hybrid)’를 붙인 ‘하이브리드 ... ...
떨어지고, 사장되고…못 쓰는 아이디어 살려드립니다
2014.09.19
판매망을 확보하면서 미국 실리콘밸리 진출을 계획할 정도로 자리가 잡혔다. 최현규
창조
경제지원사업단장은 “훌륭한 아이디어가 사장되는 일은 국가적으로도 손해라는 생각에 이 같은 사업을 기획했고, 지금은 300여 건의 아이디어 사업화를 돕고 있다”며 “연말까지 5000건 이상의 재활용 ... ...
‘광합성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나
2014.09.17
과학자들이 아직 풀지 못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남원우 이화여대 교수 - 미래
창조
과학부 제공 특히 광합성 반응을 일으키는 광합성 효소 속에는 칼슘이 있는데, 이 칼슘이 정확히 무슨 일을 하는지 그동안은 잘 알지 못했다. 최근 남원우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는 광합성 효소의 ... ...
서바이벌 ‘과학 독서 배틀’ 첫 개최
2014.09.17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서바이벌 ‘과학 독서 배틀’이 처음 개최된다. 미래
창조
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청소년의 과학적 사고력을 제고하고 과학 도서의 ... 대결을 펼치게 된다. 중·고등부 서바이벌의 최종 우승팀에게는 각각 미래부 장관상이 수여된다. 미래
창조
과학부 제공 ... ...
“바이오벤처 기업가 경험하고 올께요”
2014.09.16
역량을 강화하게 된다. 이진규 미래부 연구개발정책관은 “이번 ‘한-미 BT분야
창조
경제 리더 양성사업’을 통해 양성된 국내 우수한 연구자들이 국내에 돌아와 BT 분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선발된 이창호 POSTECH 박사는 “지도교수가 바이오 벤처를 운영하는 ... ...
캔으로 만든 국내 최고 위성 ‘캔샛’ 탄생
2014.09.16
” 학생들이 개발한 기발한 아이디어의 ‘초소형 인공위성’ 작품이 발표됐다. 미래
창조
과학부가 KAIST인공위성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한 ‘2014 캔위성 경연대회’ 수상작이 16일 발표됐다. 캔위성이란 알루미늄 깡통 속에 각종 부품을 넣어 만드는 모의 인공위성으로 낙하산에 매달아 높은 지상 ... ...
한의학연 원장 재공모 “전통의학 연구 차질”
2014.09.15
장기화 되는 이유에 대해 정치권의 줄대기 의혹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IBS는 미래
창조
과학부가 지난달 공모를 진행했지만 돌연 재공모에 나서면서 특정인사 밀어주기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 중이온가속기사업단도 지난 6월 김선기 전 단장이 자진사퇴며 신임단장 선임 절차가 진행 중이다.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우표 속 세상, 사라져가는 과학기술
2014.09.15
기념우표 2종 이후 과학기술 관련 우표의 명맥이 거의 끊기고 말았다. ‘과학기술이
창조
경제의 원동력’ ‘미래 먹거리가 과학기술에 달렸다’ 이런 말들을 사라질 구호에 그치지 말고 시대의 아이콘이자 역사적 기록물 역할을 하는 우표에 남기는 건 어떨까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것이다.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 융합 인재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
력을 고루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이과 통합이 문과와 이과 등 계열을 폐지하고 모든 학생이 동일한 과목들을 똑같이 이수하는 획일적 교육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기초소양에 충실하되 자신의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리뷰’가 매년 발표하는 ‘올해의 10대 기술’에 10년 동안 4번이나 선정됐다. 미래
창조
과학부는 바이오디자인이 바이오혁명의 중심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2011년 김선창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를 단장으로 하는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을 글로벌프런티어 연구개발사업단으로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