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표제
테마
타이틀
논제
문제
목표
뉴스
"
제목
"(으)로 총 1,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 과학도 격려할 때 더 많은 여성 과학자 탄생할 것”
2015.12.16
“남녀 차별 없이 균형을 잘 이룬 과학을 바라며 이 책을 펴냈다”고 말했다. 책
제목
에 들어 있는 ‘평행우주’는 폴락 교수가 바라는 세상을 뜻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와 다른 곳에 ‘평행우주’가 있을 수 있는 것처럼 현재 남성 위주 과학계와 달리 모두에게 평등한 과학계를 꿈꾼다는 ... ...
[신나는 공부]수능 만점자 6인이 밝히는 ‘예비 고3 겨울방학 잡는 법’
동아일보
l
2015.12.15
때 사회탐구 개념을 잡는데 주력했다. 방법은 ‘마인드맵’. 김 양은 “백지에 대단원
제목
을 쓰고 중요한 개념의 키워드를 엮는 형태로 마인드맵을 그리면서 개념정리를 했다”면서 “한국사 과목의 마인드맵을 작성하면서 임오군란과 제물포 조약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제물포 조약과 ... ...
[글로벌 북카페]과학책으로 ‘새뮤얼 존슨상 수상’… 스티브 실버먼의 ‘신경족’
동아일보
l
2015.12.14
이런 것이다’라는 정의나 ‘자폐를 어떻게 고칠 것인가’라는 해결책이 아니다. 책
제목
이 시사하듯 ‘자폐증을 앓는 사람들이 특별한 신경 계통의 변이를 갖게 된 사람들에 불과하다는 것’을 대중에게 알리려 한 것이다. 그는 새뮤얼 존슨 상 수상 뒤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 책으로 ... ...
음악검색 원리 이용해 지진예보한다
2015.12.08
개발했다 - istockphoto 제공 길거리에서 익숙한 멜로디가 흘러나온다. 앱을 켜면 음악
제목
이 바로 뜬다. 이런 음악검색 프로그램처럼 지진파를 입력하면 유사한 지진을 찾아주는 프로그램이 나왔다. 그레그 베로자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음악검색 프로그램의 동작 원리를 응용해 규모 1이하의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노화’를 특집으로 다뤘는데 글 가운데 ‘왜 우리가 반려동물보다 오래 살까’라는
제목
의 기사도 있다. ‘정말 왜 그럴까?’ 궁금해서 읽어봤는데 새로운 내용은 없었다. 먼저 덩치와 수명이 대체로 비례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가설 가운데 하나인 대사의 법칙은 이제 진부한 이론이라는 얘기가 ... ...
기존 결제기의 재발견… 삼성, 애플 울리다
동아일보
l
2015.12.07
역시 다음 날 ‘삼성페이가 애플페이나 구글 안드로이드페이보다 뛰어난 이유’라는
제목
의 기사에서 “삼성페이는 신용카드의 디지털 버전으로, 실제 지갑을 대체함으로써 애플페이나 안드로이드페이보다 쉬운 결제가 가능하도록 고안됐다”고 보도했다. 삼성페이는 내년 초 ‘성공 제2막’을 ... ...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대상에 한정현 군
2015.12.04
은 한정현 군(경기과학고 2)에게 돌아갔다. ‘뜨거운 얼음, 북극의 열을 내리려면’이란
제목
으로 제출한 한 군의 논술은 극지와 기후변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상금 200만 원이 주어지는 특별상(극지연구소장상)은 백선우 양(전남과학고 2)에게 돌아갔다. 자세한 ... ...
‘천재 소년’ 송유근 논문 철회
2015.11.26
처음 표절 의혹이 제기되면서 불거졌다. 박 연구위원은 16일 자신의 블로그에 “논문
제목
에 ‘재논의한다(revisited)’를 명기했다”고 밝히며 표절 의혹을 한 차례 부인했다. 21일에는 “발표 자료는 논문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며 표절 논란에 강하게 반박했다. 송유근 학생의 지도교수인 박석재 ... ...
‘영재’ 송유근 논문, 물리학자·문헌학자 “표절” 의혹 제기
과학동아
l
2015.11.21
삼았다. 그의 블로그엔 송 학생의 사진과 함께 ‘이 17살 박사과정 학생이 표절자?’라는
제목
의 글이 올라와 있다. 제프리 교수는 ‘논문의 자유로운 접근(Open Access)’ 운동과 사이비 저널 퇴출활동을 오랫동안 해 왔다. 과학저널 ‘네이처’의 칼럼리스트이기도 하다. 제프리 교수가 자신의 ... ...
‘뇌의 10%만 쓴다’ 아인슈타인이 한 말 아냐
2015.11.15
받았다. 하지만 냄새를 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제 ‘소리가 보이는 사람들’이라는
제목
의 책이 나왔다. 얼토당토않은 이야기 같지만 실제로 극소수의 사람들이 이런 비범한 능력을 갖는다. 이는 ‘공감각(synesthesia)’이라는 현상의 한 종류로 인류의 1~2%가 이러한 능력을 타고나는 것으로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