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직검사 대신 피 한방울로 간암 예후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5
확인해 액체생검으로 환자들의 치료 예후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며 "환자의 암 관련
유전자
변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치료를 개별화하는 맞춤형 항암치료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암세포의 면역세포 회피 억제해 암 치료 효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5
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확인했다. FOXM1은 암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
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단백질이다. 특히 면역치료 저항성을 보이는 폐암 동물 모델에서 FOXM1 억제제와 면역관문 억제제를 동시에 투여했을 경우 각각 단독 투여 시보다 면역치료 효과가 크게 ... ...
한국인 유전체 대규모 분석해 유전질환 가능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찾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예방·치료법을 찾는 데 공헌할 수 있다. 추후 동아시아인의
유전자
와 질병의 연관성을 발견하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 날개 패턴 만든 고대
유전자
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사이언스 제공. 마치 모자이크 작품을 보는 듯한 패턴이 반복되는 이미지가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 실렸다. 표지만 놓고 봐선 어떤 이미지인 ... 나타났다”며 “CRE와 표현형 특성 진화를 연구하면 척추 동물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유전자
발현 조절 역사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친절한 클리닉] ① 미처 몰랐던 '확찐' 이유와 과학적 다이어트 비법
2022.10.22
한다. 이 같은 이유로 체중이 급격히 증가한 이들이 늘었다.” Q. 살 찐 이유는
유전자
탓일까, 환경 탓일까. “비만은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유전과 환경, 정답은 없다. 쌍생아 연구를 통해 체중의 40~70%는 유전적으로 결정되고, 30%는 환경적 요인이라고 밝힌 결과가 유명하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메추리 알과 까치의 알이 색, 무늬가 다른 이유
2022.10.22
개체의 생존을 위협하지 않도록 줄타기를 잘 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자신의
유전자
가 전혀 없는 새끼를 키울 수도 있습니다. 어떤 새들은 자신의 알을 다른 새가 키우게 합니다(탁란). 대표적으로 뻐꾸기가 다른 종의 둥지에 알을 낳죠. 자신의 새끼를 잘 구분해 기르기 위해서는 다른 종이나 ... ...
흑사병이 면역체계 바꿨다..."인류는 감염병과 함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0.20
생존을 도왔던 ERAP2
유전자
가 지금은 되려 질병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ERAP2
유전자
는 크론병을 유발하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크론병은 소화기관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고혈압, 당뇨, 비만 등과 함께 현대인의 질환으로 꼽힌다 ... ...
부모 엄격한 아이들 우울증 증가...DNA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0.20
사실을 발견했다. 메틸화는 작은 화학 분자(메틸기)가 DNA에 추가되는 과정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간 여러 연구를 통해 메틸화 증가가 우울증에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2015년 4월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에서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일란성 ... ...
한국인 뇌졸중 위험 예측 정확도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4
수집한 정상인 7만7583명의 유전체를 NIH가 개발한 '한국인칩(한국인 유전체 정보를 담은
유전자
칩)'으로 분석한 정보를 활용했다. 연구 성과는 국내 뇌졸중 예방과 치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희준 교수는 “기존 연구는 유럽인을 대상으로 해 동아시아인에 ... ...
"키 결정 8할은
유전자
"...새 변이 1만2000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확인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국제공동연구팀은 성인 71만1428명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25만 가지 유전적 변이 중 키에 영향을 미치는 83개를 찾아냈다. 이들은 2014년에도 24만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키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변이 700개를 규명한 바 있다. 다만 대부분의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