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방울의 혈액으로 전립선암 재발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정보를 제공하는 PSMA 영상과 암
세포
의 활동성과 공격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혈중암
세포
기반 PSMA 검사를 결합하면 PSMA PET-CT에서 발생하는 위양성(False positive) 단점을 극복하고 전립선암의 진단 치료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위양성이란 본래 음성이어야 할 검사결과가 ... ...
차세대 이차전지·유전자 치료제 등 5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도출, 원천 특허 출원 및 15건 이상의 비임상 가이드를 확보한다. 이를 통해 유전자·
세포
치료 분야에서 공백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첨단바이오 맞춤 기술지원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올해 170억원이 투입되며 2028년까지 총 850억원을 예산으로 책정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총괄하며 ... ...
돼지 간 이식 환자, 2주 넘게 생존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막기 위해 10종류의 유전자 변형 처리가 이뤄졌다. 인간면역체계가 공격하는 돼지
세포
표면의 유전자 3개를 비활성화하고 인간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 7개가 기능하도록 했다. 이식 수술 전 이뤄진 돼지 간 검사에선 앞서 시술 두 달 만에 사망한 돼지 심장 이식자의 합병증 원인으로 지목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로봇 수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환자를 직접 만나지 않고 의사가 의료행위를 한다고? 세상이 발전하면 과거에 전혀 예상치 못한 일 ... 『내 몸을 찾아 떠나는 의학사 여행』,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의학편』, 『줄기
세포
로 나를 다시 만든다고?』, 『지못미 의예과』 등이 있다 ... ...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보내는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특히 날개 가장자리에 가해진 자극에 반응하는 신경
세포
군집이 정교한 비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또 벌새의 뇌는 발에 대한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는데 이는 안전한 착지 장소를 찾기 위해서인 것으로 분석됐다. 벌새의 뇌가 촉각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율주행 차량 위한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네이처'에 발표했다. 티안무크는 인간의 눈이 시각 정보를 인지할 때 서로 다른 시각
세포
가 정보 처리를 분담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사물의 움직임만을 빠르게 인식하는 기능과 시각 정보를 높은 해상도로 인식하는 기능을 병렬로 처리해 비전 칩을 설계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칩은 1초에 1만 ... ...
"양자컴퓨터가 신약 개발하는 시대 머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메디신은 지난 2월 IBM의 16큐비트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이 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세포
'KRAS' 억제제를 찾는 데 도움을 줬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이언스는 "구글과 IBM 등의 과학자들이 곧 수십만 큐비트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면서 양자컴퓨터 기술이 향상되며 신약 ... ...
물 분해로 암
세포
사멸 유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암
세포
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해 재발과 전이를 방지하는 데 중요하다"며 "면역 활성
세포
사를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선택적으로 유발할 수 있어 학술적으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암 치료에도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UNIST 기술창업기업 오투메디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췌장암 ... ...
KAIST 이상엽 교수, 합성생물학 개척자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바이오 제조가 점점 더 중요해지는 시점에 인공지능, 바이오파운드리 활용 미생물
세포
공장의 원천 및 응용 기술들을 지속 개발해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 ...
액체 방울 제조 기술로 '인공
세포
'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이효민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서한진 통합과정생. 포스텍 제공. 생명체의 가장 기본적인 생명 단위인 ‘
세포
’의 기능과 특징을 재현한 ... 향후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외부 자극에 능동적으로 막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
세포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길 바란다고도 덧붙였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