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해설
해명
변명
번역
이야기
브리핑
뉴스
"
설명
"(으)로 총 17,399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모의 편애 진짜 있다 …"동생, 딸에 호의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연구가 조명하길 바란다"며 "편애는 의도적이든 아니든 가족의 행복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
했다. 이어 "부모가 편애를 인지하면 모두에게 도움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며 "죄책감을 느끼라는 것이 아니라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라는 격려의 의미"라고 밝혔다. 칼 필레머 미국 코넬대 ... ...
호모 에렉투스, 나무 없는 '잔인한 사막'에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며 "생존 기간이 약 30만 년인 현생 인류와 비교할 때 성공적으로 생존한 인류 종"이라고
설명
했다. 메르카데르 교수는 "호모 에렉투스의 성공은 환경과 기후 변화에 대한 뛰어난 적응력 덕분"이라며 호모 에렉투스의 적응력은 아프리카와 유라시아의 건조 지역으로 진출하고 자리잡는 데 도움이 ... ...
AI로 두 현미경 합쳐 고해상도 세포 이미지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두 현미경의 장점을 융합하기 위해 ‘
설명
가능한 딥러닝(XDL)’ 기법을 활용했다. XDL은 기존 딥러닝 기술과 달리 변환 내부 과정을 시각화해 학습에 반영하기 때문에 더욱 신뢰도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연구팀은 단일 파장의 MIR-PAM 시스템을 구축하고 ... ...
의도치 않게 '춤 추는' 희귀질환 헌팅턴병 새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연구팀은 "헌팅턴 단백질은 존재하는 기간의 95%를 무해한 상태로 신경세포와 보낸다"고
설명
했다. 이어 "헌팅턴병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는 공백과 사실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며 "치료법 개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노르웨이 베르겐대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병원, 3차원 펄스장 절제술로 심방세동 치료 혁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서울대병원이 최근 국내 최초로 3차원 펄스장 절제술(3D PFA)을 이용한 심방세동 치료에 성공했다. 서울대병원 제공 ■ 서울대병원이 최근 국내 최초 ...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또 부모가 아이를 위해 반드시 가르쳐야 할 ‘자기 조절’을
설명
하며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양육 방법을 제시한다 ... ...
김택우 의협 회장 "2025년 의대교육 마스터플랜 제시 촉구"…부회장 박단 임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의료 사태 당사자 격인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려 했다"고
설명
했다. 보건의료 정책에 대해 전문가 단체로서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을 제안하고 보건의료 정책을 주도하는 대표단체로 위상을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② 과잉진단 줄이는 AI 영상판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며 "이럴 때 정확도가 높은 AI 제품이 이상 소견을 알려주면 상당히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
했다. 심혈관영상검출·진단보조 소프트웨어 'AVIEW 아로타' 구동화면. 코어라인소프트 제공 코어라인소프트는 올해 흉부 외 다른 부위에서도 제품 경쟁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박 CPO는 "뇌, 복부, 척추 CT로 ... ...
김영기 시카고대 교수, 美 가속기연구소 페르미랩 임시 소장 임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발효된지 2주도 안 된 1월 13일 갑자기 물러나며 관계자와 과학자들의 의문을 사고 있다고
설명
했다. 머밍가 전 소장은 일반적으로 미국 국립연구소 소장이 물러날 때처럼 은퇴하거나 연구소를 떠나지 않고 계속 페르미랩에서 근무할 예정이다 ... ...
AI로 노벨상 받은 베이커 교수, 코브라 독 해독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베이커 교수는 "설계 소프트웨어가 워낙 좋아져서 몇 가지 분자만 테스트하면 됐다"고
설명
했다. 이번에 개발된 단백질은 새로운 치료법으로 승인될 때까지 기존 치료법 효과를 개선하는 보조제나 강화제로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AI 단백질 설계는 유해 단백질을 중화시키는 데 활용될 수 ... ...
FDA, 식품에 설탕·나트륨·지방 '건강 위험도' 표기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소비자가 쉽고 빠르게 성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고 이번 제안의 배경을
설명
했다. 기존 FDA 권장 사항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 기준으로 설탕은 하루 총 칼로리(kcal) 섭취량의 1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00kcal 기준 하루 50g 이하다. 나트륨은 하루 2300mg 이하로 섭취해야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