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뉴스
"
생명체
"(으)로 총 1,314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포켓몬 GO에 대해 몰랐던 6가지
2016.07.14
첫 등장했습니다. 151마리의 포켓몬은 저마다 귀여운 외모와 다양한 특기를 지닌 가상의
생명체
로서 빠른 속도로 진화하며 초능력을 발휘하는 게 특징입니다. 포켓몬을 보며 자라난 90년대생 젊은이들에게 어릴 적 즐겨봤던 친근한 TV 만화의 기억을 소환하는 것도 포켓몬 GO의 열풍에 한 몫 하고 있죠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국소 부위에서만 약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인공지능(AI)을 갖춘
생명체
처럼 스스로 움직이고 상호작용하는 마이크로 로봇에도 활용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중에서는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 박 연구원은 “가오리 로봇은 향후 인공심장과 인공
생명체
등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 활성을 띤 머리 부분에 왼쪽과 오른쪽 2개로 구분한 광 자극의 주파수를 각각 1.5㎐, 3㎐처럼 서로 다르게 하면 가오리 로봇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 ...
‘유령 물고기와 유령 문어’ 화제
2016.07.08
사는 물고기는 투명에 가까운 피부에 쾡한 눈을 갖고 있어 ‘유령’ 혹은 ‘외계
생명체
’라는 별명이 잘 어울린다. 한편 아래 사진은 지난 2월 NOAA가 하와이 군도에서 발견한 ‘유령 문어’이다. 해저 4000미터 속에서 발견된 이 문어 또한 투명한 유령 같은 모습이어서 으스스하면서도 동시에 귀여운 ... ...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
2016.07.08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감각정보를 스스로 처리하고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인공
생명체
를 만들어 수중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 ... ...
뱀과 싸워 새끼를 구한 엄마 쥐
2016.07.06
뱀이 도망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절박하게 공격을 퍼붓는다. 마지막 세 번째
생명체
가 모든 것을 설명해준다. 뱀의 입에 작은 쥐가 물려 있다. 뱀은 어린 쥐를 물고 가다가 어미 쥐에서 들킨 것이다. 어미 쥐는 초인적(?) - 초종적- 용기와 힘을 발휘한다. 종의 한계를 뛰어넘는 공격성으로 상위 ... ...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07.05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
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필자소개 허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부교수로서 영장류학을 ... ...
20년 전 오늘, 복제 양 ‘돌리’ 탄생
2016.07.04
에든버러대 로슬린연구소에서 태어난 돌리는 인간이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만든 첫 인공
생명체
다. 돌리는 6년이라는 짧은 생을 살았지만, 인류에게 난치병 치료를 향한 희망을 안겨 줬다. ●식용 가축 대량 생산 위해 복제 연구 시작 돌리는 암컷과 수컷의 교배 없이 암컷의 세포 하나로 ... ...
도시를 들었다 놨다 하는 외계인의 ‘자가 중력’이라니…
2016.07.03
핵을 파괴해 지구 주위를 감싸는 자기장을 없애면, 대기권이 사라지면서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
를 멸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는 20년의 세월을 넘어 속편이 개봉됐다는 점에서 영화 팬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년 전 영화에서 지구인들이 외쳤던 ‘지구 독립의 날’을 ... ...
[미토콘드리아의 비밀]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07.03
거쳤지만 우리의 질문은 여전히 제자리다. 왜, 무엇이, 어떤 특징이 진핵생물을 고등
생명체
로 진화시켰고 다른 생명의 왕국은 그렇지 못했는가. 해답은 어쩌면 꼬불꼬불한 미토콘드리아의 한 구석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 필자소개 윤환수.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교수. 진핵생물이 언제 어떻게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