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뉴스
"
물질
"(으)로 총 9,326건 검색되었습니다.
폭발 위험 없는 전고체전지, 비용 줄이고 품질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사용되는 액체전해질은 전해질을 나누는 분리막이 외부 충격으로 훼손되면 양쪽 극의
물질
이 흘러 접촉해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전해질을 흐르지 않는 고체로 만들면 강한 충격을 받아도 음극과 양극이 접촉하지 않아 폭발 가능성이 낮아진다. 고체전해질이 전고체전지 내에서 ... ...
암 유발 대사
물질
, 컴퓨터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최초의 컴퓨터 방법론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암 대사 및 암 유발 대사
물질
연구에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게놈 바이올로지’에 게재됐다 ... ...
접착제 없이 전기로 '찰싹'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결과 전기 접착 현상이 발생하려면 단단한
물질
은 전자를 잘 전도해야 하고 부드러운
물질
은 소금 이온을 함유해야 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전기 접착은 물속에서도 잘 진행됐다. 연구팀은 "물속에서도 전기 접착이 이뤄졌다"며 "생체 임플란트의 성능을 개선하고 바이오하이브리드 ... ...
소라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과학동아
l
2024.03.16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셋째, 해양 플라스틱에서 배출되는 황화디메틸이라는 화학
물질
이 집게를 끌어들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양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집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러운 위장법이 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집게의 진화에 장기적으로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고통 치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급성 스트레스는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
인 ‘글루타메이트’를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
인 ‘GABA’로 전환해 공포의 일반화를 유도한다는 점을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로 고통받은 사람의 사후 뇌를 조사해 PTSD 환자들의 뇌에서도 글루타메이트와 GABA의 스위치가 ... ...
천문학계 논란 지핀 중력이론..."암흑
물질
은 신기루"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만큼 대안중력 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황 교수는 “암흑
물질
이 제시된 지 100년이 됐지만 아직 정체를 모른다”며 “대안중력 이론은 흥미롭지만 관측을 통한 입증이 필요해 아직 갈 길이 먼 분야”라고 말했다 ... ...
원자로조종면허 6년마다 갱신…신체검사와 처벌 기준도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추가하면서 핵연료
물질
취급량 증가를 신청한 기업의 '핵연료
물질
사용자의 핵연료
물질
사용 등 변경허가(안)'를 심의하고 의결했다. 월성 2·3·4호기에서 시간에 따라 열화되는 압력관 상태를 고려해 원자로를 자동 정지시키는 보호기능 '국부과출력 정지설정치' 기준 강화 등 3개 항목이 포함된 ... ...
[과기원NOW] KAIST, AI가 알아서 업데이트하는 선택 알고리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차세대 연구 트렌드를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고 14일 발표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메타
물질
을 기반으로 기기를 개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에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AI 기술을 적용하면서 컴퓨터에 입력한 데이터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빠르게 예측해 시간과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 ...
병원‧기계 따라 다른 'MRI‧CT 지방간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일관성 있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RISS는 후속 연구로 표준
물질
을 추가로 구현하고, 의료영상기기의 성능평가 체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
멍게에서 추출한 항암 치료제 원리 찾았다…"암세포 DNA 복구 차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사는 멍게 엑티나시디아 터비나타(학명 Ecteinascidia turbinata)에서 최초로 추출된 항암
물질
인 '트라벡테딘'이 항암 작용을 하는 메커니즘을 알아내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5일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항암 치료에 쓰이는 약물은 주로 암세포의 DNA를 공격해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