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으)로 총 13,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금별가족 - 220319 - 1탐사기록 l20220319
- 개나리를계속 관찰할 곳을 찾았어요 아차산 홍련봉 유적지 입구 축대옆에 개나리 군락이 있어요. 아직 꽃봉우리 마주 나왔어요 소이현 연구원님이 알려주신대로 마주한 꽃봉우리 ...
- 태양계 중 외계인이 있을 법한 곳 top5기사 l20220319
- 있는 동안 유로파를 2번 근접비행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예정돼 있는 가장 유명한 미션은 은 저공비행을 수행하면서 유로파 표면을 연구해 특성을 파악하고, 지하 환경을 최대한 조사할 '유로파클리퍼'입니다. 5.타이탄 2005년 ESA의 호이겐스 하강 탐사선이 타이탄의 흐릿한 오렌지색 대기를 뚫고 낙하산을 타고 내려왔을 때 구불구불한 언덕과 하곡, ...
- 나무가 오히려 환경파괴의 주범이 될 수 있다고?기사 l20220316
- 교란종이 들어오면 그 지역, 아니 그 나라까지 위태위태한 상황이 올 수 있는 것이죠. 2.새로운 숲, 오히려 안 좋을 수도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 전에 나무를 새로 안심었을 때보다 심었을 때가 더 적게 이산화탄소를 흡수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무분별하게 나무를 심으면 다양성이 없어지고, 오히려 자연적으로 늘어난 숲의 면적은 오히려 더 적었죠 ...
- 난, 개미가 아니야!(이야기 형식)기사 l20220316
- 들었는데요. 임개미: 답은 간단합니다. 개미가 아니니 연구를 하지 않는 것이죠. 강 변호사: 네에??? 임개미: 뭐, 혼자 흰개미를 연구하고 있긴 합니다. 흰개미는 소형에서 중형의 연한 몸을 가진 곤충인데요. 흰개미는 개미와 관련이 없고 오히려 바퀴벌레의 진화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왜냐하면 원시 바퀴벌레 크립토케르쿠스족의 특성 ...
- guest - 220316 - 1탐사기록 l20220316
- 본 새: 물까치(10)/중대백로(2)/흰뺨검둥오리(12)/청둥오리(20)/물닭(1)/흰죽지(2)/왜가리(1)/큰부리까마귀(3)/물총새(2)/청둥x흰뺨 교잡 추정(1)/딱새(1) -위치: 분당천 당우교~율동공원 분당저수지 *사진 용량 되는 만큼만 올림 교잡(청둥x흰뺨검둥오리 추정) 자세한 기록: https://blog.naver.com/PostVi ...
- 머피의 법칙은 필연이다??기사 l20220316
- 이 실험에서 그는 토스트를 9,821회나 바닥에 떨어트려 62%가 버터바른 면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로버트 매튜스는 이 연구로 이그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출처:내일은 발명왕 보고 직접 그림) 머피의 법칙:‘머피의 법칙’은 1949년 미국의 공군 기지에서 일하던 에드워드 머피 대위가 처음 사용한 말이다. 어떤 실험에서 ...
- 10년 동안 이를 닦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기사 l20220314
- 흔히 "충치"라고 부르는 것 입니다. 충치는 음식물과 바이러스,세균이 산화 되면서 치아 표면을 부식시키는 것입니다. 출처:충치예방연구회 오늘제 기사는 여기까지 인데요. 기사를 쓰다보니 앞으로 양치질을 열심히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도 양치질 열심히 하시고, 치석,치아 우식증,치은염 등 치아질환 조심하세요!! 이상 이예운 기자 ...
- 닌자 7화포스팅 l20220313
- 것 같아........그러니깐 내 정체를 밝힐께..............나는 호주에서 태어났고아빠가 한국인이야....... 호주에서 4살의 어린 나이에....... 연구원이 되었고 5살 때 아빠와 한국으로 왔어..........내 이름은 서예은이 아니라.......... 호주 이름으로 Adele 이야...........나중에 호주에 가면 내 시 ...
- 치느님은 당연히 옳다!기사 l20220313
- 1. 각자 2.섞어서 3섞고, 짜게 다음 실험은 미국 필라델피아의 모넬 화학 연구진이 실험자들에게 단 맛이 나는 당과 불쾌한 맛을 내는 요소 짠 맛인 소듐 아세테이트를 각각 혹은 섞어서 제공한 후 용액의 맛이 얼마나 달거나 쓴지 물어봐 본 실험입니다 ...
- [발명과 발견2] 산소, 어떻게 발견 되었을까?기사 l20220312
- 일단, 산소를 발견한 사람은 과학자가 아닌 목사였습니다. 그분의 이름은 프리스틸리입니다. 프리스틸리 목사님은 어떤 기체를 연구 중이었습니다. 옆에 플라스틱에 '어떤' 기체를 넣어두었는데, 실수로 쳐서 넘어 졌습니다. 그래서 두껑이 열렸는데 옆에 있던 촛불의 불이 더 강해 졌습니다. 프리스틸리는 그것이 신기해서 실험을 했습니다. 쥐 두 마리를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