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양"(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명왕성 아래 바다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있는 지구와 다르게 암모니아처럼 잘 얼지 않는 성분이 포함돼 있을 거예요. 명왕성은 태양과 너무 멀어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이지요.연구에 참여한 MIT 리차드 빈젤 연구원은 “앞으로 명왕성 아래 바다가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를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우주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르는 법! 태양 전지판이 손상되거나, 장기간 태양빛을 받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에 대한 한 가지 대안이 바로 인간동력이랍니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인간동력 우주 로버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매년 ‘나사 인간 탐사 로버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에서 황홀한 오로라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수 없었어요.3월 말에서 4월 초, 9월 말에서 10월 초입니다. 춘분과 추분 즈음의 시기이죠. 태양 흑점이 폭발하고, 코로나 홀이 열리는 시기입니다.영화 ‘생명의 빛, 오로라’를 만들기 위해 영하 30℃의 추위에서 50일 동안 촬영했다고 해요. 제작진들 덕분에 따뜻한 곳에서 생생한 오로라를 볼 수 ... ...
- [과학뉴스] X자 모양의 붉은 거미 성운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반지름이 약 1012~1013km인 원형 구름 형태를 이루면 행성상 성운이 된답니다. 과학자들은 태양도 수명이 다하면 행성상 성운이 될 거라고 예측하고 있어요. 행성상 성운 이후에는 질량이 모여 중심온도가 수십만℃에 이르는 백색왜성이 돼요. 백색왜성은 별들의 종착지인 셈이랍니다.붉은 거미 성운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감시해야 하지만, 이는 무척 어려워요.우주 궤도에서는 지구 중력이 고르지않고, 태양과 달의 영향 등으로 궤도가 계속 바뀌거든요. 또한 하나의 망원경으로는 특정 위성을 하루에 4~5분씩, 2~3회 정도밖에 볼 수 없고요.이에 미국 ‘통합우주운영센터’는 전세계 30곳에 있는 망원경과 레이더의 ... ...
- Part 2. 작고 무시무시한 우주쓰레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크기의 작은 우주물체가 센티넬-1A의 태양 전지판에 충돌했다고 해요. 충돌의 영향으로 태양 전지판에는 크기 40cm의 상처가 생겼지요. 물체의 크기와 피해의 규모를 통해 추정한 우주물체의 속도는 초속 11km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센티넬-1A는 지금도 정상적으로 운행하고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태양보다 50억 년을 더 살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긴 별이지요. 적색왜성이 중심인 원시태양계는 전체의 1.3% 정도로 매우 드물답니다.연구를 이끈 스티븐 실버버그 교수는 “시민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새로운 발견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아니라 핵융합을 하기 때문이에요. 핵융합을 할 때는 산소가 전혀 필요하지 않거든요. 태양에서는 ‘수소(H)’가 핵융합을 통해 ‘헬륨(He)’으로 바뀌면서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만들고, 빛과 열을 낸답니다.한편 거대한 불꽃을 일으키며 우주 속을 나는 로켓에는 연료와 함께 산소가 실려 있어요. 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빛이 세상을 환하게 밝혀 줘요. 밤에도 형광등이나 가로등 덕분에 물체를 볼 수 있지요. 태양이나 형광등, 가로등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를 ‘광원’이라고 해요.빛은 공기나 물속처럼 같은 매질에서는 곧게 나아가요. 이를 ‘빛의 직진’이라고 해요. 하지만 다른 물체의 표면에 부딪히면 ... ...
- [과학뉴스] 수고했어, 로제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필래’를 67P 혜성 표면에 내려 보냈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늘에 떨어진 필래는 태양에너지를 받지 못해 20시간 만에 수명을 다했지요.필래의 실패 이후에도 로제타는 혜성 주변을 돌며 혜성에 대한 정보들을 지구로 보냈어요. 이를 통해 돌덩어리로 여겨졌던 67P 혜성이 사실은 미세한 구멍이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