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례"(으)로 총 2,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왼쪽에 ∨로 표시한다.과정 ➋ 곱셈식에서 뒤에 있는 수 13을 계속 2배씩 해서 나온 값을 차례로 아래에 쓴다.과정 ➌ ∨표 한 곳에 해당하는 13의 배수 값(13, 104, 208)을 모두 더한 값이 곱셈의 결과다. 즉, 25×13=13+104+208=325이다.이 곱셈법은 이진법과 분배법칙을 이용한 것이다.예를 들어 25×13=(1+2³+2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소리의 에너지는 ‘파동’에 의해 전달되는데, 파동이란 한 곳에서 생긴 진동이 차례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파동이 퍼져나갈 때,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한다. 클라드니는 ‘소리가 만드는 진동’에 주목하고, 여러 가지 종류의 소리를 조사했다. 그 결과 그는 1787년에 ... ...
- 숫사자는 장식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만큼 기습에 유리하다는 것이다.로리 박사는 “숫사자가 사냥을 한다는 것은 이미 여러 차례 가설로 제기 되었다”며 “이번 연구는 그 가설을 확인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동물행동학’ 3월 18일자에 실렸다 ...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옐로나이프 만에 도착해 주위를 관찰하다 마침내 지난 2월 드릴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몇 차례의 연습 뒤에 바위를 파내 얻은 시료를 분석했고, 여기서 게일 크레이터는 과거에 미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이었다는 결론이 나온 것이다.새롭게 드러난 회색 화성과학자들은 지구에서 여러 미생물에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분석한 결과 이 입자가 표준 모형의 힉스 입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발표했다.한 차례 더 발표할 가치는 있었지만, 작년 성과의 재탕 느낌을 주는 것은 작년에 이미 올해 이 순간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입자물리학은 빔의 출력과 운영 계획 등이 모두 정해져 있기 때문에 언제 어느 정도의 ... ...
- 나로호, 드디어 꿈을 싣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013년 1월 30일 오후 4시 전남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한 우리나라 최초 발사체 나로호가 두 차례의 발사 실패를 딛고 드디어 우주에 도달했답니다. 나로호는 발사 후 9분 동안 1, 2단 페어링과 1단 로켓 분리까지 마치고 2단 로켓 엔진을점화해 목표 궤도에 나로과학위성을 무사히 올려놓았어요. 오후 ... ...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4호
- 360°를 곱하면 된다. 피보나치 수의 비가 점점 황금비에 가까워지는 것처럼, 나선형 잎차례에서 잎 사이의 각도는 137.5° 또는 222.5°에 가까워진다. 그런데 137.5°를 360°로 나누면 약 0.382, 222.5°는 약 0.618이 된다. 0.382는 1에서 황금비의 수인 0.618을 뺀 값과 같다. 따라서 두 각을 ‘황금각’이라고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등에 대한 단기적인 예측을 하고 있다.하지만 앞서 살펴본 것처럼, 반복 계산이 수십 차례 이상 넘어가면 그 결과가 무의미해진다. 이것이 날씨나 인구 변화를 장기적으로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이유다.수학 경시 대회에서 시작된 카오스“콰콰쾅!”악! 하늘이 무너진다! 휴~, 아니구나. 난 하늘이 ... ...
- DNA CAFE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연구자가 된 배경, 남들은 평생 한 번 싣기도 힘든 네이처나 네이처 제네틱스 논문을 수 차례 게재한 세계적인 학자가 되기까지의 과정 등 개인적인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서 교수는 재치 있는 설명과 오랜 경험에서 나온 풍부한 사례를 곁들여 경이로운 유전체학의 세계를 흥미롭게 소개해 ...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생각을 했다. 그래서 표면의 염료를 이용해 연대를 측정하려는 시도가 국내에서만 두 차례 있었다. 첫 번째 시도는 2006년 11월에 있었다. 정건재 전남과학대 동북아문화연구소장이 서울대 공동기기원 정전가속기연구센터에 의뢰했다. 당시 정 교수는 흑피옥에 묻어 있는 유기물을 측정했는데, 약 1만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