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위의 몰래카메라 첩보위성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탑재체(카메라)를 적재한 위성이다. 1m 해상도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1m×1m의 크기를 갖는
지표
면의 물체를 영상자료에서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구체적인 정의는 없지만 첩보위성은 서브미터급(해상도가 1m 이하)의 위성영상을 이용한다. 이 정도는 돼야 적국의 군사동향과 작은 군사시설 등을 ... ...
인간과 더불어 산 얼음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겨울철에 형성된 찬 공기가 여름까지 계곡주위에 머무는 상태에서 암반 밑의 지하수가
지표
안팎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해 증발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얼음이 언다는 것이다.인공 얼음골 석빙고얼음골 얼음의 비밀이야 어찌됐건 유의태는 자연의 혜택으로 자신의 주검을 보존해 제자에게 해부의 ... ...
Ⅴ 온실효과 탈출 마지막 비상구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중 제1의 규제대상이다.물 그물에 걸려든 이산화탄소과거 대기의 온실효과가 없었다면
지표
면의 평균 온도는 현재보다 33℃ 정도 낮게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면 지금과 같이 지구상의 생물들은 존재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온실효과가 수면을 상승시키고, 거대한 홍수를 ... ...
무인도 생존법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혈압, 맥박수, 호흡수이다. 이상의 4가지 증상이 민감한 신체의 변화를 알려주는 초기
지표
인 셈이다.정상적인 경우 체온은 36.5℃이나 질병에 걸리면 체온은 상승한다. 체온계가 있으면 좋겠지만, 없다면 열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이마나 겨드랑이를 만져보면 알 수 있다. 물론 이 때 느끼는 열의 ... ...
번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것이 특징이다. 이 때
지표
면은 양전하로 유도된 상태다. 아래쪽으로 내려온 전자들이
지표
에 가까워지면 나무와 같이 높이 솟아있는 물질로부터 양전하를 끌어올린다.지면에 있는 나무같이 뾰족한 것에는 양전하가 많이 모인 다. 전자와 양전하가 만나면 강력한 전기가 흐르기 시작한다. 전자와 ... ...
④ 고대에도 태양관측 있었다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관점에서도 고대의 천문관측기록은 과학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다.태양 활동의 직접적
지표
인 흑점의 경우 서양의 관측은 4백년에 못 미치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는 태양활동의 장주기 변화를 살펴보는 데에 매우 부족한 기간이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의 흑점과 오로라 기록은 태양 활동의 장기적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낮은 경우도 생긴다. 이 경우 소리의 진행 방향이 지상쪽으로 굴절해 밤에는 낮보다
지표
면에 가까울수록 소리가 더 잘 들리게 된다. 음악과 소음사람들은 듣기 좋은 소리를 음악으로 표현한다. 물론 반대되는 표현으로 소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사실 소음과 음악을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은 ... ...
1. 달에 물이 있다면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떨어진다면 그 얼음은 증발하지 않고 남아 있게 된다.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운석이
지표
에 떨어질 확률이 지구보다 크다는 사실도 이를 뒷받침한다. 지구의 경우 대기가 있어 어지간한 운석을 태워버린다.그러나 1969년-1972년 사이에 달에 착륙했던 아폴로 우주선들은 얼음을 발견하지 못했다. ... ...
10대들의 고민 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손과 왼손목의 X선 촬영을 한다. 이는 생물학적 성숙도를 알아내는
지표
, 즉 성장판이 열렸는지 닫혔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촬영한 골연령의 측정 방법은 앞으로 키가 얼마나 더 클 수 있는지와 성인이 됐을 때 신장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여자 왜소증의 경우는 ... ...
동물이 경칩날을 아는 비결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중요한 신호라는 것이 밝혀졌다. 일광주기는 지구의 운동에 따른 규칙적인 계절변화의
지표
일뿐 아니라 온도, 습도, 먹이의 양 등이 모두 이에 관련돼 있다.어쩌다 이상기온이 생긴다 해도 이에 속지 않고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일광주기를 겨울잠의 신호로 삼는 것은 가장 안전한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