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우주에서 돌아온 종자나 식물을 지구에서 몇 대에 걸쳐 심으면 새로운 품종이 돼요.
중국
에는 우주 육종으로 만들어진 식물의 품종만 800종이 넘는답니다.꽉 끼는 옷 입고 예쁘게 변신!작년 봄, 우리나라 대형 마트에 귀여운 모양의 오이가 등장했어요. 보통 오이는 단면이 동그란 모양이지만, 이 ... ...
옛날 옛적 말레이시아에…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없어선 안될 존재가 됐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등지에서 개인전을 열고 미국,
중국
, 스페인 언론에 그의 작품세계를 다룬 기사가 실릴 정도다.바틴은 정규 사진교육을 받은 적도 없고 사용하는 장비도 평범한 아마추어 작가다. 스스로 자신의 작업을 “주말에 하는 취미”라고 말할 정도다.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 있는 큰 규모 였지만 인명피해를 2000명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
중국
은 탕산 지역에 규모 7.6의 대지진 을 다시 겪었다. 탕산 지역에는 하이청 지역에 나타났 던 전조현상이 단 하나도 없었다. 결과적으로 도시 전 체가 붕괴했고 사망자 수조차 세기 어려운(25만~75 만 명 추정)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다제내성 폐결핵이 급증했습니다. 오늘날 공공 보건의 무덤이라 할 이 사태가 남한이나
중국
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한-중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한국 역사에서 민족의 성지입니다. 그런데 10세기 경에 있었던 백두산 화산 분출이 지난 1만 년을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수증기가 지표 부근에 머무르면서 짙은 안개가 지속되지요. 게다가 사고 당일에는
중국
에서 불어온 미세먼지가 수증기를 뭉치는 역할을 해서 더 짙은 안개를 만들었어요.그 결과 사고 당시 영종대교의 *가시거리는 10m밖에 되지 않았어요.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의 도로에서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기간에 폭발적으로 분화한 탓에 그동안 진화관계가 뒤죽박죽 얽혀 있었다. 최근 한국과
중국
, 덴마크 등 20개국 국제공동연구진은 현대 조류를 대표하는 48종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방대한 진화계통도를 다시 썼다.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로는 가장 큰 규모이며 기간은 총 4년이 걸렸다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사실을 보여준다. 언어를 배우는 나이가 빠를수록 변하는 경향도 컸다. 모국어로
중국
어를 쓰는 사람은 어려서 영어를 배울수록 자아이동관점으로 많이 이동한다.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증거다.사랑이 마음엔 두 사고체계가 있을까한국어를 배우면서 사랑이에겐 어떤 변화가 ... ...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를 충전할 수 있을 거예요.한편 넷엑스플로 어워드에서는 이 기술 외에도 스마트젓가락(
중국
)과 에볼라 확산방지 앱(나이지리아), 초소형 성분분석기(이스라엘) 등이 상을 받았답니다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인삼을 캐러 다니는 사람을 ‘심마니’라고 부르기도 한다. 심이 인삼으로 변한 것은
중국
에서 삼(蔘, 인삼 삼)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특히 뿌리 모양이 사람과 비슷하다고 해 인삼이라고 불렀다.인삼에 많이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은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사포닌은 ... ...
[수학뉴스] 연필과 종이로 만든 센서가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개발됐습니다. 놀랍게도 이 센서는 종이와 연필만 있으면 만들 수 있습니다.신친랴오
중국
베이징 과학기술대 재료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종이가 휜 정도에 따라 흑연의 전기저항 값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종이 센서를 개발했습니다.주로 복사용지로 쓰는 종이는 섬유질로 돼 있어 표면이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