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삶의 질을 높이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현재 시각장애인이 위치를
인식
하려면 손으로 더듬거나 바닥에 있는 점자판을 밟아야 한다. 하지만 라이파이가 활성화되면 조명 밑을 지나가기만 하면 된다. LED조명이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내기 때문이다. 정보는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못했습니다. 사람 뇌의 전기 신호를 로봇 팔로 보내는 것은 가능했지만, 로봇 팔이
인식
한 촉각을 사람 뇌로 보내는 것은 어려웠기 때문이지요.연구팀은 이 한계를 극복한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인공촉각이 발달하면 장애인이 생활하는 데 도움을 주거나 인간의 외로움을 달래줄 수 있을 것으로 ... ...
남녀의 뇌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뇌 연결망의 차이 때문에 여자는 사회성이 높고 멀티태스킹에 유리한 반면, 남자는
인식
한 정보를 행동에 바로 적용하는 순발력이 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라지니 버마 박사는 “물론 개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1000명에 이르는 참가자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봤을 때 ... ...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3년 10대 연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선정해 12월 20일 발표했다. 1위는 암 면역치료법으로 체내 면역세포를 조절해, 암 세포를
인식
하고 공격할 수 있는 기법이다. 보통 암 세포는 면역세포의 눈을 피하기 위해 특별한 단백질을 분비한다. 연구자들은 특정 약물로 면역세포를 자극해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했다. 환자에게 이 치료법을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발생률이 3배 증가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고압송전선이 위험할 수 있다는
인식
이 퍼지면서 세계 각지에서 연구결과가 쏟아졌다. 노벨상 심사기관인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페이칭 마리아 연구팀은 1992년 송전선 인근 17세 이하 어린이들을 조사한 결과, 백혈병 발병률이 2mG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써 양쪽 눈이 서로 다른 영상을 보게 했어. 그러면 뇌가 두 영상을 조합해 입체 영상으로
인식
한단다.특수안경으로 뇌를 속이는 셈이지. 하지만 오래 보면 메스껍고 어지럽다는 사람들도 있었어. 곧 안경 없는 입체 기술도 개발했지. 하지만 2013년까지는 화질이 떨어지고 누워서 볼 수도 없었어. ... ...
카메라 VS 디지털 카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찍는 방식은 거의 비슷해요. 그런데 빛으로 이뤄진 장면을 필름이 아닌 이미지 센서로
인식
해서 메모리카드와 같은 디지털방식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지요. 필름을 현상하거나 인화하지 않아도 바로 사진을 볼 수 있어요. 세계 최초의 디지털카메라는 1975년, 미국 코닥사의 스티브 새슨이 발명했는데,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밝혔다. 인은 생명체의 필수 물질로 손꼽히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는 생명체에 대
인식
을 뒤엎는 새로운 발견으로 많은 화제와 논란을 불렀다 남극 얼음 속은 미생물의 ‘따뜻한 우리집’저희랑 반대로 엄청 추운 데서도 잘 사는 친구들이 있어요. 1970년 남극 연구자들은 빙하 3750m 아래에 높은 ... ...
Intro. 우주론의 역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여기서 이번 기획의 주인공인 암흑에너지가 등장한다. 여기에 오기까지 인류의
인식
지평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넓힌 우주론의 흐름을 살펴보자.BC. 4c아리스토텔레스가 지구 중심의 우주론을 제창하다. 우주는 영원불멸하다고 주장하다.BC. 3c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태양 중심 우주론을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45.7초씩 시간이 빨리 간다.김성원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교수는 “영화에서처럼 우리가
인식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시간팽창이 일어나려면 태양 정도 중력으로도 모자란다”며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정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성자별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2000억 배에서 3조 배에 이른다. 이런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