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결
순정
청결
깨끗함
청정
진짜
증류수
d라이브러리
"
순수
"(으)로 총 1,3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달이 골수를 빨아들인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렇게 하면 달로 여행할 수 있다.(이것은 물론
순수
하게 전설을 따른 것 뿐이었다.)2. 이슬이 담긴 작은 유리병들을 몸에 휘감으면 이슬이 공중으로 올라가면서 몰까지도 따라 올라가게 된다.(이슬은 공중으로 올라가지만 수증기로 변하기 때문에,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수출증대에 봉사하는 '시녀노릇' 이상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 기초과학수준이나 산업의
순수
한 자체개발능력은 거의 향상되지 못한 것이다.반면 5공의 과학기술정책에는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기초과학은 여전히 그늘에 가려있었지만 강력한 기술드라이브정책을 펴 산업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자성을 띠고 공간의 확실한 방향을 가리키는 벡터양을 가지게 된다. 보통 기압에서
순수
물을 0℃ 이하로까지 내리면 결정격자, 즉 새롭고 딱딱한 물질의 상을 만들어 낸다. 공간의 어느 한쪽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액체의 특징인 이동대칭이 파괴된다.대칭의 파괴는 부수적으로 새로운 특성을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전 어느날 신에 의한 창조였다고 기록돼 있다. 실제로 우주창조에 대한 최초의 필요성은
순수
한 과학탐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서였다.그러나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초기 그리스 철학자는 신의 직접적인 간섭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래서 우주는 존재해왔고 ... ...
3 선진국은 상용화, 국내는 시범단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ISDN이 갖는 특징으로는 융통성 있고 강력한 신호 방식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신호란
순수
정보를 보내기 위해 사전, 사후에 필요한 절차다. 우리가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해 전화를 거는 경우 송수화기를 드는 행위, 다이얼을 누르는 것 등이 모두 사전에 설정된 신호방식이다. 현재의 전화는 정보전달과 ... ...
(5) 소프트웨어 「한글화」의 허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한계성이란 뚜렷한 규격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이다. 외국 소프트웨어도 아니고
순수
한 의미의 우리 소프트웨어라고도 할 수 없는 그런 묘한 성질을 가졌다고 하겠다.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얼마전 아놀드 슈왈츠네거라는 영화배우가 출연한 영화가 장안을 떠들썩하게 한 적이 있다. 폭력이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별을 보며 우리의 꿈을 키우고 태고의 마음으로 돌아가
순수
해진다. 저 별 어던가에 숨어 있으리란 어린 왕자의 별은 아마 별을 헤는 우리들 마음 속에 자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결혼한 별자리이 달에는 북쪽하늘로 시선을 돌려 북쪽의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때 거기에는 새로운 의미가 함축됐다. 그들은 작업과정 그 자체에서 느껴지는
순수
한 즐거움 이외에 어떠한 목표도 갖지 않는 프로젝트나 그에 따른 결과물을 해크라 불렀다그렇다면 해커들은 어떤 이유로 그런 프로그램들을 만들었는가. 때때로 그들로서는 자신들이 어떤 용도로 프로그램을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받지는 못했다.2차대전이 끝난 후 전쟁에 사용됐던 많은 과학장비들의 용도는 자연히
순수
한 과학연구용으로 돌려지게 되었다. 특히 해군에서 사용했던 전자장비들이 바다의 조사에 투입 됐다. 그때까지 지구연구의 대부분은 대륙에만 국한되었고 심해저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195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대한 고고학적 연구는 지질학 지형학 고생물학 고생태학 토양학 해양학 등 수많은
순수
과학분야와의 공동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공동연구가 요구되는 것은 구석기시대 동안 흔히 빙하기와 간빙기라 불리는 시기가 반복되면서 오늘날에는 상상하기조차 힘든 엄청난 격변을 겪었기 때문이다.즉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