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물품
제품
경품
판매품
생산품
상
d라이브러리
"
상품
"(으)로 총 1,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에는 세계가 일일생활권에 근접하고 있고 국제간의
상품
교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므로 각 국가의 표준은 국제표준에 일치시켜야 하는 것이다.첨단 과학기술의 발달은 초정밀 세계로의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도 2000년대에는 세계 7위권의 기술선진국 ... ...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회사들이 카드 사업주체로 나서서 계속 새로운 기능 유형을
상품
화하고 있다. 현재의 IC카드는 호환성이 없어 A사의 카드를 B사 전자수첩에 쓸 수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 카드개발에 나선 회사들은 IC카드의 표준화를 서두르고 있다.한편 전자수첩의 기능확대는 하드웨어쪽에서도 ... ...
두발 로봇 드디어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공학부에서 개발한 이 로봇은 외부에 25개의 구동장치가 있다. 만약 이 로봇이
상품
화된다면 무시무시한 마구를 던지는 피칭머신이 나오게 될지도 모른다.로봇끼리 광통신으로 서로 정보교환을 하는 연구도 현재 진행중이다. 아직 완성된 단계는 아니지만 5개의 셀(cell)로 구성된 이 기계는 빛을 통해 ... ...
1 애플에서 매킨토시로 좁스의 비전과 제록스의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영업담당이었던 마이크 마크쿨리가 들어와 경영을 맡고, 좁스와 워즈니액은 새로운
상품
개발에만 전념했다. 이렇게해서 만들어진 컴퓨터가 이름하여 애플Ⅱ.애플Ⅱ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한장의 보드에 많은 부품을 넣었다. 그러나 애플Ⅰ과는 달리 당시 찾아볼 수 없었던 많은 메모리와 그래픽,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용해서 숫자를 표시했다. 파스칼은 이 기계를 10년동안 50대나 만들었지만 히트
상품
대열에 올려놓지는 못했다. 그러나 톱니바퀴로써 숫자의 단위를 표시하고, 톱니의 회전속도비율에 의해 자릿수를 이동하는 방식은 이후 모든 기계식 계산기의 기본원리가 되었다.파스칼린의 결점은 덧셈이외의 ... ...
20세기안에 고온초전도
상품
나올듯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등이 실험실 규모에서 제작됐다. 이를 통해 볼때 20세기가 끝나기전에 몇가지 고온초전도
상품
이 전자공학분야에서 시장에 나올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초전도 자석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될 대전류용용은 아무래도 2000년 이후에 가야만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러한 전망은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상용화가 실현되었다. 최근에 퍼지추론 하드웨어의 개발로 가전분야에서 퍼지이론의
상품
화는 급속히 확대되어 응용 분야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퍼지컴퓨터는 최근에 개발이 시작되는 단계에 있으므로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최근들어 국내에서는 퍼지 이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 ...
초소형 금속기어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센서(sensor)에 이용될 것이다. 연구팀들은 곧 이 기어를 이용한 초소형기구들도 개발해
상품
화할 예정인데 그 크기는 1백μ을 넘지 않는다.지금까지의 초소형 기구들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져왔다. 왜냐하면 마이크로칩제조회사들이 실리콘부품개발기술을 꽤 높은 수준까지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 ...
자신이 찍은 사진을 TV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진분야에 혁신을 일으킬 신제품이 미국 코닥사에 의해 발표됐다. '포드CD'라 불릴 이 시스템은 35㎜ 카메라 필름의 영상을 디지털로 변화시켜 컴팩트 디스 ... 벗어난다는 점과 CD에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이 필름 1백장 정도라는 점에서 이 기기의
상품
성에 대해 약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얻어지는 수익금에 대한 정당한 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종전같으면 연구결과가
상품
화되더라도 거의 모든 수익금을 국가가 차지했기 때문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자기 연구에 큰 의욕을 가지지 못했는데,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의 개방 정책으로 이러한 자영협동체의 조직이 가능해진 것이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