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원리예요. 모자를 써서 햇빛을 가리듯 피부에 크림을 발라 얇은 벽을 만든 뒤, 빛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거죠. 피부조직과 화학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아 피부 손상을 줄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피부 위에 하얗게 층을 만드는 ‘백탁 현상’을 일으킨다는 단점도 있답니다.한편 유기자차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수 없는 물질을 가리키지요.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발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빛을 이용하는 광학 현미경보다 더 작은 물질을 볼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나온 뒤에야 비로소 바이러스를 관찰할 수 있었지요. 바이러스는 몸이 단백질 껍질과 그 안에 있는 유전물질로만 이루어져 스스로 살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여기 뭔가…. 반짝이는 게 있어.”백혈구가 사라진 곳에는 작고 동그란 원판이 보석처럼 빛나고 있었어요.“채윤아, 우리 정말 중요한 아이템을 하나 얻은 것 같아.”채윤이와 수호가 기뻐하고 있을 때, 어두운 동굴 뒤쪽에서 한 남자가 이들을 지켜보고 있었어요.바로 아저씨였죠. *개념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거울을 볼 수 없어요. 이때 기차 밖의 사람에겐 기차 안의 시간이 거의 멈춘 것과 같아 빛이 얼굴과 손거울 사이에 머물고, 거리는 짧아져 얼굴과 손거울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해가 화창한 아주 맑은 날을 본떠 ‘맑다’라는 뜻을 지녔지요. 즉, 결정은 맑은 빛으로 맺힌 고체를 의미한답니다. 과포화(過飽和)는 ‘지날 과(過)’와 ‘배부를 포(飽)’, ‘화할 화(和)’가 합쳐진 한자어예요. 용액에 용해도 이상으로 용질이 녹아 있는 상태를 말하지요. 용해도 이하로 녹아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환경 등을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환경탑재체는 관측 지역에서 나오는 빛을 1000개 채널로 잘게 쪼개, 각각이 대기와 어떤 물질이 상호작용한 결과인지 분석한다. 대기 오염물질을 7km 간격으로 관측할 수 있다. 양군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달라졌다. 결국 1975년 제15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물리상수인 빛의 속력(299792458m/s)을 이용해 1m를 재정의 했다. 크립톤-86 원자가 내는 복사선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를 측정해 불확도를 3×10-9 수준으로 1m를 정의한 것이다. 특히 킬로그램의 경우 지금까지 ... ...
- [과학뉴스] 박테리아로 전기 생산하는 ‘바이오닉 버섯’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붙였다. 남세균도 양송이버섯 표면에 나선 모양으로 배열했다. 연구팀이 양송이버섯에 빛을 비추자 남세균은 광합성을 하며 전기를 생산했다. 그래핀 나노리본과 남세균이 만나는 지점에 전자가 모였고, 그래핀 나노리본에 65nA(나노암페어·1nA는 10억분의 1A)의 전류가 흘렀다. 연구에 참여한 수딥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포착해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이 있는지 알아냈다. 또한 이 현상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빛이 얼마만큼 감소하는지 관측해 행성의 크기와 궤도, 주기 등을 계산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대한 구상은 1980년대 처음 나왔다. 당시 NASA 에임스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이었던 윌리엄 보루키 박사는 10월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새는 없다”며 “아마 노래나 춤에 뛰어나지 못한 새들이 구조색으로 만들어진 화려한 빛깔의 깃털로 상대를 유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상대를 경계하는 용도, 무리 내의 의사소통, 또는 보호색을 위해서 구조색이 생겼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날갯짓 많이 할수록 깃털 밀도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