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겁
영원무궁
무궁
무량
무한량
무량무변
d라이브러리
"
무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커다란 별자리들을 만들고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사색의 계절인 가을의 분위기마냥
무한
한 상상력으로 가을 별들의 신비를 밝혀보자.반은 염소, 반은 물고기9월에도 여전히 은하수의 별들이 다른 별들을 찾는 좋은 지침이 되어준다. 여름철의 삼각형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독수리자리의 바로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또 이에 해당하는 완전수는 (${2}^{n-1}$x(${2}^{n}$-1)이라는 것이다.이 솟수의 개수는
무한
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찾아내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의 발견에는 슈퍼컴퓨터가 사용되었고, 이 과학자들은 앞으로 현재의 슈퍼 컴퓨터 보다 훨씬 강력한 슈퍼컴이 등장하지 않는 한 더 큰 ... ...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러시아 자치구) 말로 '잠자는 땅'을 의미하는 시베리아는 대부분 러시아 영토에 속하며,
무한
한 자연과 넓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그 인구는 2천8백만으로 인구밀도는 ㎢당 2명에 불과하다. 특히 서부 시베리아의 저습지대와 북극권 일대는 1㎢당 1명 이하로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다. 그 중요 ... ...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양은 마치 원자력의 에너지같이
무한
한 힘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무한
한 에너지를 평생 사용하면서 우리는 삶을 영위해간다. 보통사람들은 마음에너지를 안정되게 사용하지만 초능력자들은 이 마음의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때로는 이 마음에너지를 증폭하여 ... ...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색상을 저장하여 언제고 똑같은 색을 재현할 수 있다. 또 그 비율을 조정하여 그야말로
무한
대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사람들이 컴퓨터그림을 선호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강력한 수정기능을 들 수 있다. 직접 도화지에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다가 아차 실수할 경우 그 그림은 휴지통으로 들어간다.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닫혀있을 수도 열려 있을 수도 있다(그림5). 이제까지는 우주의 전체적인 구조(즉 유한과
무한
의 문제)나 현재라는 시각에서 볼 수 있는 전 우주의 시공간의 단면(그림1)을 보았다. 이제 시야를 좀 좁혀 우리 지구 근처 수억광년 이내에 은하들의 분포를 알아보자. 어두운 밤하늘에는 대형 망원경으로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C}_{60}$, 즉 풀러렌의 60개 또는 그 이상의 탄소를 반응시킬 경우, 벤젠을 능가하는
무한
한 화합물을 유도해낼 수 있다.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UCLA의 도널드 크램박사는 "풀러렌으로 부터 전혀 새로운 화학이 탄생할 것이다"라고 예언하고 있다.${C}_{60}$은 그 구조에 있어서도 지금까지 화학자들이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가? 그 팽창 속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우주는 유한한가, 아니면
무한
한가? 이러한 관측 자료들은 우주진화이론의 가능한 여러 해(解)중에서 실제 우주를 기술하는 답을 찾는데 필수적이다.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현재 우주를 이루는 기본 입자 또는 블럭이라 할 수 있는 은하의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그리고 그 기술의 발달은 동서 냉전체제와 선진제국들이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벌인
무한
경쟁에도 힘입은 바가 크다.이제까지 '과학동아'를 통해 연재한 컴퓨터 역사를 살펴볼 때에도 기술의 발달에는 과학적 지식과 그 외적인 요소가 두가닥의 실과 같이 꼬여서 나감을 보았다. 어떤 요소가 더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내린다.'빛이 있으라!'(성경 창세기 1장)아시모프가 가고 없는 지금, 과연 우리들은 그의
무한
한 상상력과 무궁무진한 가능성의 세계를 고스란히 이어받을 수 있을까? 우리는 이 질문에 확신에 찬 대답을 할 수가 없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그가 남긴 그 방대하고 독보적인 업적들은 영원히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