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령
지휘
훈령
통제
판결
분부
d라이브러리
"
명령
"(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기기 활용법/레이저프린터 대중화 문턱에 들어선 무공해 출력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내장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 페이지 단위로 인쇄할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고 인쇄
명령
대로 배열을 완료한 후 출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복사기가 화상을 인쇄하는 원리와 비슷하게 전자적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해 낸다. 페이지 단위로 계산되므로 도트 매트릭스보다 시작하는 시간은 약간 ... ...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처음 발표됐을때 사용자들의 시선을 모은 것은 마우스였다. 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명령
어를 타이핑하던 입력방식에서 탈피하여 필요에 따라 마우스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마우스는 기존 컴퓨터를 배우기 어렵다고 불평하는 초보자들에게 큰 인기를 모았다.매킨토시에서는 강력한 그래픽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해독하며 그 지시대로 계산해 나가는 방법이다. 이렇게 되면 기억장치에 어떤
명령
어를 집어넣는가에 따라서 수행하는 일도 달라지므로 보다 일반적인 일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이런 노이만이 원리를 채택한 최초의 범용 전자계산기가 탄생했다. 1949년 케임브리지 대학의 월크스는 에드삭(EDSAC ... ...
TV화면 보다 선명도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카드 천공기(card puncher)와 이를 읽어 들이는 카드리더(card reader)가 고작이었다. 짧은
명령
어 한 줄을 입력하기 위해 한장의 카드가 필요하므로 혹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찾아내기 위해 며칠을 카드속에서 파묻혀 지내야 했다.물론 이 글을 읽는 독자는 이러한 경험을 해본 일이 거의 없을 것이다. ... ...
과일 부패 막는 게껍질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가 미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산화방지제 알라에서 발암 성분을 검출해 사용중지
명령
을 내린후 상황은 달라졌다.그이후 인체에 해가 없는 새로운 산화방지제를 찾는 일에 박차가 가해졌다. 이번에 갑각류 껍질의 키틴질에서 산화방지제 성분을 만들어낸 사람은 아일랜드 퀸스대학의 연구원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말단에서 수용되는 감각 정보가 중추신경계에 전달되고 중추신경계가 생성하는 운동의
명령
이 신체 근육에 전달되는 통로다.신체의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신경계는 세포로 이루어지는데, 뉴런과 교세포가 신경계를 이루는 두 형태의 세포들이다. 이 글을 읽는 순간에 동원되는 집중, 그에 따른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인간과 정확한
명령
어(instruction,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명령
어)만을 이해할 수 있는 기존 컴퓨터 사이의 언어적 장벽을 제거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인간의 두뇌는 애매모호한 환경에서 학습(learning)과 추론(reasoning)이 가능하므로 부정확하거나 '좋다' '크다'와 같은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공을 찬다'라는 과정을 생각해 보자. 공을 차려고 의식적으로 발을 내미는 행동은 뇌의
명령
이 근육에 전달돼 자발적으로 발을 움직이는 행위다. 그런데 헛발질 하거나 목적하는 곳에 공을 차지 못했을 때는 이러한 반응이 부드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포츠로 몸을 움직이면 자극이 뇌로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광프로세서로 대체한다는 개념이다.지난해 3월 미국 AT&T 벨연구소는 초당 1백만
명령
어를 처리하는 광프로세서를 개발, 광컴퓨터실현에 한발짝 다가섰다. 광컴퓨터의 장점은 전자의 상호간섭과 전선의 정체현상을 일거에 해소해 인간이 실현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 ...
허블이 보내온 토성 사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빠르게 움직이는 정체불명의 백점을 확인했다. 곧바로 허블에 이 사진을 찍으라는
명령
이 떨어졌고, 허블은 최근에 이 사진을 지구로 전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진 또한 행성의 대기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에게는 큰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