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d라이브러리
"
둘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 우주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 명왕성의 비밀이 하나
둘
밝혀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뉴호라이즌 호가 촬영한 명왕성 남극의 화산 ‘라이트몬스(Wright Mons)’의 사진을 1월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라이트몬스는 너비가 약 160km, 높이가 4km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졸업을 앞두고, 옆에 있는 지승훈 교수와 ‘고급물리 실험’을 들었습니다. 당시에
둘
이 실험을 하면서 기계를 많이도 망가뜨렸죠. 그래서 실험은 안 되겠단 생각에 이론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_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장갑을 낀 감식반 요원들이 고무보트 위로 시체낭을 끌어올리느라 “하나
둘
, 하나
둘
” 박자를 맞췄다. 시체낭의 젖은 천이 마네킹의 팔다리에 밀착되면서 곡선이 선명히 드러나 마치 진짜 사람이 들어있는 것 같았다. 마네킹의 배를 찌른 칼은 밀폐용기에 담긴 채 수중과학수사대원들의 손에 들려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놈일까, 나쁜 놈일까.일단은 건강하다고 전해라자세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기 전에 밝혀
둘
것이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메타분석과 표본이 큰 결과를 우선적으로 참고했다. 메타분석이란 독립적으로 수행된 같은 주제의 연구결과를 모아 다시 분석하는 방법이다. 커피에 대한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하지만
둘
중에서 프로페시아의 발모 효과가 더 좋은 것은 맞다”고 말했다. 또 “
둘
다 사용했을 때 상승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마지막으로 심 교수에게 탈모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점에 대해서도 물었다. 가격이 제각각인 프로페시아의 카피약이 저마다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꾸미기 전에 어서 구하러 가야겠어요. 다시 만나요, 내시.”짧은 인사를 마치고 단은 서
둘
러 위층으로 향했다. 계단의 반 정도를 오르자 단이 발을 내딛을 때마다 철퍽철퍽 소리가 났다. 바닥에는 물이 흥건히 고여 있었다.‘이게 무슨 일이지?’끝없이 길어지는 해안선마지막 계단까지 올라서자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주인에게 우리의 과학 수준을 들킬까봐 겁이 나서 그런 조항을 강요한 건 아니었을까?그
둘
다였을 것이다. 그렇게 등대는 공포와 어리석음과 호기심을 동시에 불러들이는 제단이었다. 정작 오래 전 감마선 폭발의 여파로 생물이 멸종하기에 이른 불모의 행성에 그 제단을 세운 주인은 무얼 염두에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팡! 물풍선이 터진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공이 부딪혔다가 튕겨 오르면서 벽돌을 부숩니다. 좌표에서 점이 선 위에 놓여 있다면
둘
이 충돌했다고 볼 수 있지요. 이것을 쉽게 보기 위해 수학에서는 ‘맨해튼 거리’를 이용합니다. 대각선을 생각하지 않고 가로와 세로만 고려해 거리를 재는 방법이지요. 예를들어 2차원 좌표에서 A와 B의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토론할 전문가도 없었던 것이163다. 다행히 이를 간접적으로나마 설명할 근거들이 하나
둘
씩 나왔고, 5년이 지나서야 김 교수는 자신이 봤던 것이 지난 20년간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물의 비밀을 풀어줄 현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최근 김 교수는 물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좀 더 중점을 두고 ... ...
[지식] 세기의 매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총 960개라서 피셔960이라고 이름 붙였다. 바비 피셔는 매 수를
둘
때마다 150수 이상을 앞서 생각했다. 보리스 스파스키는 한 수를 두는 데 평균 3초밖에 걸리지 않았다. 체스를 두는 방식은 전혀 다르지만 체스 천재라는 사실은 확실한 두 사람의 긴장감 넘치는 대국의 결과가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