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구
동무
벗
짝패
동지
패거리
짝
d라이브러리
"
동료
"(으)로 총 1,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눈 코 입이 작고 턱이 큰 특징을 지니고 있다.우리는 일상생활중 비록 직관적이지만
동료
들 간에 출신지역에 따라 얼굴 생김이 다르다는 느낌을 흔히 경험한다. 이것은 출신지역에 따라 눈 코 입 귀를 구성하는 얼굴구성의 형태소가 다르거나 아니면 한 지역에 분포하는 얼굴형의 배합비율이 서로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주변의 환경을 황폐하게 만드는 역할만 할 뿐이다.생물학자인 리차드 A. 말렉키와 그의
동료
연구자들은 보라색 좁쌀풀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있다고 말한다. 이들은 최근의 논문에서 이 식물의 각기 다른 부위를 공격하는 유럽산(産) 곤충을 수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안전하기도 하다고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영을 주장했다. 결국 우주 유영 횟수는 5회로 늘어나게 되었다.무스그레이브와 그의
동료
들의 성공을 기원해야 할 이유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다시 태어나는 우주망원경이 제공하는 분명한 화상을 통해 천문학자들은 몇가지 큰 문제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우주는 얼마나 빨리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충돌, 합치게 될 것이다.이러한 자료들로부터 오하이오 대학의 낸스(R.D.Nance)와 그
동료
들은 최근 초대륙 주기(Supercontinent Cycle)라는 이론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의 이론에 의하면 초대륙의 수명은 약 1억년이며 초대륙이 분리되면서 형성되는 해양판의 수명은 약 4억년(해양이 형성·확장 되는데 2억년, ... ...
기후와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약 10%가 절약될 수 있다고 한다. 시카고 도시·숲·기후 프로젝트의 일원인 하이슬러와 그
동료
들은 현재 도시에 있는 나무가 기후와 에너지 소비, 공기의 청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중이다.세계의 모든 과학자들은 여분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하기 위하여 아주 기발한 방법들을 생각해내고 있다. 그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대체로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일까.메사추세츠 대학의 천문학자 카렌 스트롬과 그녀의
동료
들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못한 오리온 성운의 남쪽자리를 조사한 적이 있다. 그곳에는 수백개의 새로운 별들이 작은 무리를 지어 있었다. 그 구역에 있는 한 성운에는 10개에서 50개 단위로 뭉쳐진 3천여개의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장애물을 통과할때, 먹이를 찾고자 할때 초음파를 발사한다. 또 초음파로 주변의
동료
나 사육사와 교신을 한다. 해양공원 등에서 펼쳐지는 돌고래쇼를 관람하면 사육사가 호각을 불고 있는데 그것은 초음파호각이다. 그래서 관중들은 호각을 부는 듯한 입 모양만 볼 뿐 정작 그 소리는 듣지 못한다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먹이를 발견하면 그 복부 끝에서 길잡이 페로몬을 분비하면서 집으로 돌아오는데,
동료
개미들은 이 페로몬의 냄새로 먹이가 있는 곳을 찾아간다. 이 물질은 휘발성이어서 곧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개미들이 분비된 지 오래된 페로몬의 냄새에 현혹되는 일은 거의 없다. 본능인가 지능인가하등 ... ...
바이오스피어Ⅱ대원 귀환 보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필요에 의한 것'이었다고 분석한다. 그들 앞에는 협력해야 할 일들이 쌓여있기에
동료
와 완전히 결연하고 싸우기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하지만 이 그룹의 심리적 역학 관계에 관한 진지하고 철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스트레스 특정과 같은 정신측정학적 평가는 없었다. 계획의 입안자들이 ... ...
먹을 것 구하기 위해 두뇌 발달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 '잡식성'이 사람의 선조가 먹이를 구하는 행위에서 분업화로 이어졌다. 그 결과
동료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하는 등 사회성을 강화하게 되었다.인류는 출현 이래 고기를 식탁에 올려왔는데, 초식동물이었던 먼 선조로부터 소화관의 구조가 크게 바뀐 것은 아니다. 공업선진국의 인간들은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