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앉은자리
즉석
d라이브러리
"
당장
"(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기반기술로 개발대상을 구분해 수년내에 상품으로 만들어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품목과
당장
결과물을 보기는 어렵지만 기술자립을 위해 자체개발이 필요불가결한 기술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추진해나가고 있다. 제품기술개발사업으로 확정된 것은 초고집적반도체인 2백56M D램 광대역 ISDN 고선명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약하기 때문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이로인한 극심한 기술인력난으로 산업계는
당장
4만명이 부족한 형편이며 93년에는 부족인원이 12만명에 이를 전망이다.양보다 심각한 것이 질적 저하의 문제다. 교육환경이 가장 우수하다는 서울공대가 올해 발간한 백서의 내용은 충격적이다. 교수 1인다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제부터라도 폐기되는 핵연료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전문가들이 보는
당장
가능한 활용방법으로는 다음의 세가지 정도가 요약된다.첫째 고농축우라늄을 직접 활용하는 방안, 둘째 고농축우라늄을 희석시켜 저농축 상태로 바꾼 뒤 활용하는 방안, 셋째 혼합 핵연료를 개발해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것은 아니다. 타대학도 함께 발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고 말한다.
당장
올해만 해도 사회적 요구를 감안해 전자재료 무기재료 생명과학 항공우주공학과를 신설, 개편했으나 예산상의 증액은 없었다. 결국 부지는 있어도 연구소나 필요한 실험시설, 부족한 교수요원채용 등은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이 바로 정부의 흡수통합안이다. 물론 천문학이 다른 기초과학이나 첨단과학과는 달리
당장
돈이 될 수 있는 분야는 아니다. 빠듯한 예산에 한가하게 별이나 관측하는 것보다는 하루가 다르게 연구개발되고 응용되는 분야에 한푼이라도 더 보태야 하는 실정이 전혀 이해가 안가는 것은 아니지만, ... ...
(1) KS한글코드 바뀌어야 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이라는 점에 반대하지 못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단 한번도 쓰이지 않았던 글자가
당장
1년 후에 쓰이지 말라는 보장이 없으며, 그것은 표준 코드가 제정된지 불과 몇년만에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현재의 KS 한글 코드(KSC5601 2바이트 완성형 코드)가 제정된 것은 지난 87년의 일이다. 당시의 상황은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컴퓨터 32대가 들어왔는데 LAN(근거리통신망)이 잘 안되는 거예요. 기술자를 불러오면
당장
은 되다가 조금 지나면 다시 문제가 생기곤 했어요. 우리가 사용을 잘못해서 그런가 해서 나중에 기술자에게 물어봤더니 "8비트에 LAN을 설치하는 것은 처음"이라는 겁니다. 기술적으로 자신이 없지만 정부에서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한다. 프로토콜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전문적인 내용이기도 하고 또 지금
당장
은 필요한 것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사항들은 직접 통신을 하면서 배우기 바란다.■통신에뮬레이터에뮬레이터(emulator)를 국어 사전에서 찾아보면 '대신 흉내내다'라는 뜻이다. 컴퓨터공학에서 에뮬레이터는 하드웨어의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체계화된 것은 수학 천문학 의학처럼 검증이 가능하고 토지 측량이나 농사 질병치료 등
당장
생활에 이용되는 분야들이었다.수학과 천문학은 5천년전 도시가 처음 출현한 이래로 관찰을 거듭하고 방법에 방법을 더해가면서 발전해 왔다. 태양력과 태음력을 조화시키는 문제는 당시 수학이 해결해야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엔 좋은 아이디어라해도 사장되는 예가 적지않다.그러나
당장
응용성이 희박한 과학은 모두 쓸모없다는 식의 사고는 기초 과학의 성장을 저해한다"고 꼬집는다.KIST의 박종오박사(로봇공학)는 이에 더해 "공학에서의 진보가 기존의 모방과 개선을 통해 이루어진다면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