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프렌즈] 함께 단단히 성장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고민거리는 오히려 재미있는 일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이런 김 군의 고민을 해결한 건 우연히 접한 미국의 커리어 코치인 에밀리 와프닉의 TED 강연이었다. “강연에서는 한 분야에 집중해 전문가가 될 수도 있지만, 여러 분야에 걸쳐 넓은 지식을 갖추는 다능인이 될 수도 있다고 소개했어요. 이 ... ...
- [옥스포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 24화. 운명처럼 만난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롤 모델이 있다는 것 수학을 공부하며 찾아온 위기의 순간마다 저를 버티게 한 건, 드 사토이 교수님과 제가 학교에서 만났던 동료 수학과 친구들이었어요. 사실 기대와 달리 학교에 입학한 뒤에도 드 사토이 교수님의 수업을 들을 수는 없었어요. 옥스퍼드대에는 수학과학 대중화 활동에 ... ...
- [특집] 핼러윈 수를 만들어야 입장 가능! 악마의 핼러윈 파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두 자리 수로 시작하든 항상 9가 되니 이 수를 좀비 수라고 이름을 붙일 수 있지 않을까?이건 사실 인도의 수학자 카프리카가 발견한 규칙이야. 카프리카가 발견한 수의 성질에 내가 ‘좀비’라는 이름을 붙여 봤지 ...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연구하며 자신이 여기 있는 게 맞는지 의심하는 여성이 많다는 질문에 “당연하고 건강한 생각”이라며 “어떤 걸 더 배워나갈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그것만 생각하며 나아가는 것만이 의심을 거둘 유일할 방법”이라고 말했다.세계적인 리더로, 최초의 여성으로, 아시아 출신으로, 다양한 역할을 ... ...
- [특집] 물고기 잡으려다 바다를 망치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다양한 종류의 그물과 어획 방식이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도 큰 문제를 일으키는 건 저인망(트롤) 어업이에요. 크게는 10km에 달하는 거대한 그물을 바다 밑바닥까지 펼쳐 끌고 다니면서 물고기를 남김없이 잡아 올리지요.이런 그물은 ‘혼획’이라는 또 다른 문제를 일으켜요. 혼획은 잡으려는 ... ...
- 마이랩홈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부글부글 빵!빵! 실험으로 코로나19로 답답한 마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만나면 물과 이산화탄소, 아세트산나트륨이 만들어져요. 이중 지퍼백을 빵빵하게 만든 건 기체인 ‘이산화탄소’예요. 기체인 이산화탄소는 액체인 식초와 고체인 베이킹소다보다 훨씬 부피가 커요.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이산화탄소가 지퍼백을 빠르게 부풀리며 지퍼백에 압력을 가해 결국 ... ...
- [특집] 딱 하나 고르라면 바로 이것!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거지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알고 있다는 건 직각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고, 이는 건물을 짓고 땅을 나누는 등 문명을 이루는 데 필요한 일들을 할 줄 안다는 걸 의미해요. 세계적인 수학자인 김민형 영국 워릭대학교 수학과 교수도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수학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정리라고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마침내 밝혀진 진실 “난 ‘해뿡’이 아니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도대체 얼마나 한 거야? 네 것 챙겨가!”이상했습니다. 딱지는 임무가 너무 바빠서 물건을 살 시간도 없었거든요. 얼마 뒤 딱지의 방에 상자가 한가득 쌓였습니다. 딱지는 상자를 하나씩 열어봤습니다. 첫 번째 상자에서는 로셀리나와 디프레의 3D홀로그램이 떠 있는 우주선 모양의 장식품이 ... ...
- [특집] 연속체 가설은 거짓? 끊임없는 수학자들의 공격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데이비드 에스페로 교수입니다. 제가 처음 연속체 가설을 연구했던 건 2012년이에요. 그때부터 저와 쉰들러 교수는 우딘과 마틴 최대 공리를 연결 지으면 연속체 가설이 거짓임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생각만큼 되지 않았고,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잊고 지냈죠. 그러다 2017년 즈음에 ... ...
- [에디터노트] 인류를 위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과학기자들에게 10월은 노벨상 발표로 시작하는 달입니다. 올해도 4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5일 물리학상, 6일 화학상 수상자가 연달아 발표됐습니다. 보통 한국 시간으로 저 ... 이 일로 다시 한번 건강의 중요함을 깨닫습니다. 독자 여러분과 동료, 가족 모두의 건강과 안전을 빕니다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