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01
기후와 토양은 바늘과 실의 관계. 기온과 수분양은 전혀 다른 흙을 만들어 낸다.세계의 곳곳을 여행하거나 영상매체를 통해 이국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 ... 한랭한 기후에 놓여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는 주로 물리적 풍화작용이 우세하고, 화학적 풍화나
미생물
의 작용은 아주 적다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01
상호 견제하거나 도움을 주고받는 생활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흙속
미생물
의 네번째 생활양식은 동식물 체내에서의 공생을 통해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소 양 염소와 같은 반추동물이 섬유소와 같은 소화하기 어려운 먹이를 먹는 것은 누구나 아는 상식이다. 풀과 함께 ... ...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01
주를 이루는 우리나라 토양에서 가장 현명한 토지 이용방법이다.또한 수많은 종류의
미생물
과 토양소동물(土壤小動物)은 논에 유입하는 폐유기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하여 영양소로 환원한다. 실제로 논은 수천년동안 농촌지역의 쓰레기 처리장 역할을 해오고 있는 셈이다.또한 수전농법은 ... ...
흙과 생명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301
있다. 모자라는 물질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며 넘치는 물질은 밖으로 배출한다. 흙속의
미생물
들은 외부 병원균을 공격해 스스로를 보호하며, 서로 견제하면서 종(種)다양성을 유지한다. 흙은 어떻게 탄생하며 외부환경에 따라 어떻게 진화했는가. 인간은 흙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 개발에 따라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01
토양유기물의 공급원이 비단 식생에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토양
미생물
이나 동물보다는 식생이 토양의 발달과 생성에 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식생은 토양으로부터 각종 영양염류와 수분을 흡취하여 성장하는 반면, 뿌리를 통해 질소고정작용을 하고 낙엽이나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12
전공분야간에 벽이 없다. 넷째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산업의 벽도 허물었다. 인체호르몬을
미생물
에서 대량생산하고, 심지어는 동식물에서 생산하고자 한다. 또 플라스틱 원료를 감자같은 식물에서 대량생산할 날이 다가오고 있다. 농업 식품 보건 의약 공업 등과 같은 종래의 구분을 넘어서는 일이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12
지상과제가 생화학자에게 던져진 셈이다.여섯째 효소는 새로운 과학기술을 만들어 낸다.
미생물
내에는 자체 방어목적으로 갖고 있는 핵산분해효소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중 DNA의 염기서열을 선택적으로 인식하고 절단하는 것이 있다. 이것을 제한효소라 한다. 이 효소는 유전자재조합연구에서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12
일종인 에탄올이 만들어지는 것이다.아무튼 바이오매스에너지와 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생물
에 대한 유전정보의 확보는 다가올 석유고갈시대를 대비하는 중요한 방책이 된다. 언젠가 석유가 바닥나는 것은 이미 정해진 길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석유가 생물자원에서 유래했으므로 생물자원과 ... ...
플라스틱 재활용시대
과학동아
l
199212
20%어떤 사람들은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쓰면 문제가 간단히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생물
이나 빛에 의해서 분해되는 플라스틱이 이미 실용화됐고, 더 좋은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염려 없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면밀하게 검토해 보면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는 쓰레기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12
일종)을 퇴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미생물
과 식물에서 살충성 유전자와 단백질 소화효소 억제유전자를 뽑아내어 작물체에 전환시키는데 성공했다. 지금은 각종 해충이 이 유전자 전환식물을 먹고 잘 죽는지를 검정하고 있는 단계다. 조속한 시일 내에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