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
과학동아
l
201111
사실 굉장히 촘촘하게 작곡된 그의 작품은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인’ 바로크 음악과는
거리
가 멀다는 평가도 받는답니다. ‘바흐 이전의 침묵’이라는 영화가 있지만, 어쩌면 바흐가 이전의 자유로운 바로크 음악을 오히려 ‘침묵시킨’ 것인지도 모르겠어요.‘브란덴부르크 협주곡’에는 여러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11
주도한 미노스(MINOS)라는 실험 때문이었다. 미노스 실험은 오페라와 비슷한
거리
에서 중성미자를 쏜 것이었는데 2006년 측정 결과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오차가 100ns 정도여서 측정 결과가 불확실하다. 측정한 중성미자의 개수도 500개 미만에 불과했다.과학자들은 오페라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11
기원이 같다는 가설에 대한 강력한 증거다.[하야부사는 레이저를 이용해 이토카와까지의
거리
를 측정하며 착륙을 시도했다.] 이토카와의 종말이토카와의 표면은 표토로 덮여 있다. 표토는 달과 마찬가지로 소행성 표면이 마이크로유성체와 충돌해 부서지거나 다른 입자와 부딪치고 마모되면서 ... ...
소셜엑스레이 안경
과학동아
l
201111
흥미로운 말을 한다면 무의식 중에 눈썹을 올리게 됩니다. 이 표정은 눈과 눈썹 사이의
거리
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재면 쉽게 알 수 있죠. 반대로 상대의 말에 의문이 생기면 고개를 갸우뚱 하는데, 이 동작은 양 미간을 잇는 선의 기울기를 측정하면 됩니다. 이 측정값을 모아 둔 데이터를 이용하면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11
싸움을 구경하며 즐겼다.또 그리스의 신전은 두 기둥 사이에 석재를 올려 두 기둥 사이의
거리
가 짧다. 로마는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건축양식과는 다른 양식으로 거대한 콜로세움과 같은 건축물을 지었다. 콜로세움처럼 큰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비밀은 어디에 있는 걸까 ... ...
평행선에서 동위각의 크기는 정말 같을까?
수학동아
l
201111
그었을 때, 두 직각삼각형 ABH와 ABI는 빗변 AB가 공통이고, 변 AH와 BI는 평행선 사이의
거리
로 길이가 같아 합동이 됩니다. 따라서 각 a와 각 ABH는 같고, 각 ABH와 각 b는 맞꼭지각으로 크기가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두 각 a와 b의 크기는 같게 되지요. 교과서에서 평행선의 성질을 증명하지 않는 이유는 ... ...
글리제581d, 생명이 살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1
지구에서 *20광년 떨어져 있는 행성 ‘글리제581d’에 외계 생명체가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어요. 과학자들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것처럼 글리제581 ... 존재하는 ‘골디락스 영역’에서 궤도를 돌고 있답니다.*20광년 : 빛의 속도로 20년을 가야 만날 수 있는
거리
.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11
참조) 주위에는 공간이 떨어져 있으므로 광속으로 향해 가는 우주끈 A의 옆을 도는 쪽이
거리
가 짧아진다. 우주선은 우주끈의 경로로 빛에 가까운 속도로 목적지로 향한다. 그러면 지구에서 목적지까지 똑바로 나아가는 빛보다 빨리 도착할 수 있다. 목적지에 도착해 지구를 보면 아직 출발하기 전의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11
이론적인 양만큼 진공에너지가 있다면 우리가 보는 우주의 크기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
보다도 작아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주론자들은 암흑에너지라는 새로운 이론을 도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입했다기보다는 관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급조한 인상을 지울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11
결합하면 원격측정 의료기기로 활용할 수 있다. 단 지금은 생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거리
가 수 cm에 불과해 상용화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8월 12일자에 실렸다. [“피부 껍질 아니에요” 전자피부는 판박이 문신처럼 피부에 붙였다가 쉽게 떼어낼 수 있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