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등"(으)로 총 11,7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KOITA l2015.02.16
- 속에서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와 의사, 간호사, 보험회사 직원 등 다양한 사람이 환자의 개인 정보에 접속할 때 누구에게 어떤 권리를 주는 것이 바람직한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다. 비겔 박사는 향후 이 시스템을 무인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KOITA l2015.02.09
- 필요한 철근의 양이 새로 강철 선체를 하나 만드는 것과 별반 차이 없는 수준이었다는 점 등 여러모로 효율성에 문제가 많았다. 결국 미국이 랜드리스로 호위항모급 항공모함을 대량으로 원조해준데다 대서양의 제해권을 연합군이 장악하면서 하버쿡 같은 대형 항모도 필요하지 않게 됐다. 요컨대, ...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KISTI l2015.02.09
- 4년마다 윤년을 두되, 100으로 나누어지는 해에는 평년으로 하고 400의 배수인 1600년 2000년 등은 윤년으로 정하게 됐다. 그래서 2000년, 2004년, 2008년, 2012년에도 2월은 29일까지 있다. 물론 올해와 내년에는 2월이 28일까지 있지만 다가올 2016년에 2월은 29일까지 있다. ■ 국제 원자시간에 1초를 더하다, 윤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2015.02.02
- 반세기가 넘게 지났지만 숲은 그 어느 때보다도 울창하다. 우리의 경우 숲 파괴의 일등공신은 초식동물이 아니라 사람이었는데 화석연료가 보급되고 건축이나 가구용 목재를 수입하면서 사실상 숲이 방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평지가 사실상 없기 때문에 야생 대형 ... ...
- [Green Lab_현장탐방] 음식물쓰레기에서 자동차연료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5.01.30
- 3년 반 정도면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이다. 김정훈 연구원은 “바이오메탄 정제기술 개발 등의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 해결에 이바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신재생연료혼합의무화제도에 대비하고, 국내 바이오메탄 정제시장을 확보하며, 나아가 해외 바이오메탄 정제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을 ...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KISTI l2015.01.26
- 타겟 혜성의 이름은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이하 혜성 67P). 여기서 67은 혜성 목록에 등록된 순서를, P(Periodic)는 주기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추류모프-게라시멘코는 1969년 구소련의 발견자들 이름이다. 인류가 그 주기를 발견한 최초의 혜성인 핼리혜성은 1P/핼리로 명명돼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KOITA l2015.01.26
- 때 나타나는 특정 단백질과 항체만 찾으면 여러 암은 물론 심장병, 말라리아, 에이즈 등 세상 모든 병을 싸고 빠르게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그는 몸을 한 번 훑으면 모든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꿈의 의료기’를 만들어 내기 위한 프로젝트에 몰두하고 있다.물론 안드라카의 발명에 논란이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2편]동아사이언스 l2015.01.23
- 사례와 벤처에 필요한 후츠파(Chutzpah) 정신의 의미, 벤처사업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 등 다양한 질문과 답변들을 학생들과 함께 나눠본다. ◆ MC: 최정문┃서울대 산업공학과 4학년 ◆ 나오는 사람들 ○ 유기윤┃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노건일┃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박사과정 1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2015.01.20
- 필자의 연구실에서도 미래창조과학부의 공공안전복지 연구사업의 지원으로 건식형 전극 등에 기반해 착용이 간편한 뇌파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술적으로 뛰어넘어야 할 난관이 많다. 일단 뇌파 신호 해석의 정확도를 향상 시켜야 한다. 뇌파 신호가 너무 복잡하고,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2015.01.20
- 합심해 극복한다면, 한국의 과학과 복지기술을 상징하는 뛰어난 결과물도 조만간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에서 개발한 노약자를 위한 상지 보조기. 각종 센서와 제어장치 모두 직접 개발했다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 ...
이전1084108510861087108810891090109110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