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내려고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문과생의 경우 공통과학만 배우면 과학에 대
해
더이상 배울 기회가 없다. 그래서 이번에 잘 배워두면 사회에 나가 과학 때문에 컴플렉스를 느끼는 일은 없을 것이다. 공통과학은 흥미 위주로 돼 있어 공부하기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화면 4-3. 별자리를 구체적으로 알기 위
해
화면 오른쪽 아래에 있는 책을 마우스로 선택
해
본다. 12가지 별자리가 나타날 것이다. 구중 염소자리를 눌러보자.화면 4-4. 밤하늘에 여러 개의 별이 반짝인다.화면 4-5. 깜빡이는 순서대로 마우스를 누르면 별들이 선으로 연결된다. 화면 4-6. 별들을 선으로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
결책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한개의 사각형이고 a는 띄어쓰기 칸을 나타낸다. 자모 사이에는 빈곳이 없다.)암호풀이와
해
답암호 1NEW DISCOVERIES SHOW THAT LIFE AS WE KNOW IT BEGAN IN ANAMAZING BIOLOGICAL FRENZY THAT CHANGED THE PLANET ALMOST OVERNIGHT암호2지적 호기심이나 진리에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페니실린을 발견한 플레밍, 약효를 입증한 플로리와 체인. 페니실린의 진정한 발견자가 누구냐는 의견이 분분했다. 과정이야 어쨌든 그들의 연구 열정은 인류에 ... 침 우유 계란흰자 등에 존재한다. 이 효소는 공기에 의
해
운반되는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파괴
해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한다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새
해
가 밝았다. 매년 이 맘 때면 누구나 1년 계획을 세우고 한
해
를 설계한다. 그동안 종이 위에다 만들어온 계획표를 이번에는 워드프로세서로 만 ... 물론, 인맥관리가 용이하도록 설계됐다. 여러 모임의 회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해
주며 손쉽게 DM 라벨이나 봉투 주소록 등을 인쇄할 수 있다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빙붕이라 하는데 보통 두께는 2백-9백m정도. 빙상은 빙붕이 깨져서 생긴 것을 말한다. 빙
해
는 바다가 언 것으로 두께가 1-2m로 비교적 얇다. 사진은 빙하가 흘러내리는 모습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다시 모습을 나타낸 것은 1861년 표본 채집을 위
해
정글을 뒤지던 프랑스의 박물학자에 의
해
서였다.그러나 앙코르와트 지역은 1972년부터 외부인에게 폐쇄된 이후 낮에는 베트남군이, 밤에는 크메르루지의 게릴라가 번갈아 차지하는 20년간의 지루한 전화에 시달리면서 거듭 훼손당하는 운명에 빠지고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제1조 남극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고 군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한다” 는 명문으로 시작되는 남극조약은 국가간에 끊임없이 발생하 ... 있는 실누나타크산 등에서 화산이 폭발하고 있다. 디셉션섬에서는 여러차례 화산이 폭발
해
영국기지와 칠레기지가 녹아내린 물로 파손된 일이 있다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신세대가 받고 싶은 10가지 선물에 꼭 끼는 것. 무선호출기의 매력과 작동원리를 알아본다.'1004101023535'는 일명 삐삐로 통하는 무선호출기의 약어 중 하나. '천사열 ... 난다고
해
서 물 속에 집어던진다거나 밟아버리면 새로 구입하거나 서비스센터에 가야 하므로 조심
해
서 사용하기 바란다 ... ...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탐사구가 진입한 지점(화살표)은 1백10m/초의 속도로 강한 바람이 불고 있었다. 이에 반
해
북쪽 백반쪽은 6m/초의 속도로 느리게 움직였다. 오른쪽 이미지는 10월 4일 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한 진입예정 지점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구름들을 볼 수 있다.(사진/Rate Beebe) ... ...
이전
108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