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보이면서 사진과 같은 장관이 펼쳐진다.위성의 행렬을 이끄는 건 토성의 60개 위성
중
가장 크기가 큰 ‘타이탄’. 행성인 수성보다도 크다. 타이탄의 질소 대기는 태양빛과 반응해 오렌지색으로 보인다. 그 왼쪽으로 고리 가까이에 보이는 작은 위성은 왼쪽부터 각각 ‘엔셀라두스’와 ... ...
나방이 특정 냄새에 ‘필’이 꽂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담배박각시나방이 좋아하는 털독말풀(Datura wrightii)의 꽃에서 나오는 60여 개의 화학물질
중
특정한 9개가 조합된 냄새를 맡을 때 기계에서 소리가 났다. 리펠 박사는 “나방은 마치 교향곡에서 몇 개의 선율만 듣는 것처럼 냄새를 맡는다”고 냄새를 구분하는 원리를 설명했다 ... ...
게임이론을 알면 진화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성향을 가진 종의 숫자가 많아져 생태계를 지배하게 된다는 뜻이다.반대로 애초에 공
중
도덕이 혼탁해 양보하려는 사람들이 20% 뿐이고 새치기하려는 사람이 80%나 되는 도시가 있다고 하자. 이제 새로 이사 온 사람이 양보운전을 할 경우 받을 기댓값은30×0.2(즉20%)+5×0.8(즉80%)=10이고,새치기운전을 할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2일 ‘4월의 캠퍼스 별 축제’, 3일~4일에는 ‘시민천문대의 밤’이 열리며 4일에는 국립
중
앙과학관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과학관의 밤’이 열린다.5일에는 국내 아마추어천문가들이 전국에서 ‘거리의 별 축제’를 벌인다.대한민국 별 축제 대전 행사4월 10일~12일 꿈돌이 사이언스 페스티벌의 ... ...
구조물 안전 지키는 ‘족집게 명의’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걱정들이 있지만 공학을 기초로 한 경영을 실천하는 사람이 많잖아요. 저도 그런 사람
중
의 한 명이고요. 지금 제가 느끼는 만족감과 행복을 후배들도 경험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공학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면서 인문사회학 서적을 많이 읽어보기를 권합니다.그렇게 해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없으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착각하게 됩니다. 지표면의 자기장은 마치 지구의
중
심에 커다란 막대자석이 놓여 있는 것 같이 양극을 갖고 있습니다. 지자기의 자기력선은 남반구에서 나와서 북반구로 들어가기 때문에, 우리가 말하는 지구의 자기북극은 실제로는 지구의 남극이 됩니다. ... ...
정말 궁할 때 이용하는 페트병 냄비와 우유팩 냄비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종인 ‘스티렌다이머’나 ‘스티렌트리머’가 검출될 수가 있다. 여전히 시
중
에 스티로폼 용기에 담긴 컵라면이 판매되는 이유는 녹아나오는 화학물질의 양이 허용기준에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스티로폼은 발포제로 폴리스티렌을 팽창해 만들기 때문에 내부에 기포가 많다. 그 결과 스티로폼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 이 연구원은 전체 연구원이 60명인 반도체 마스크 개발팀에서 3명에 불과한 여성
중
한 명이다. 여성에 대한 배려가 잘 돼 있는 데다 반도체 특성 상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일이 많아 이 일이 여성에게 잘 맞는다고 평가한다.같은 회사의 이혜미(26) 연구원은 고등학교 시절 과학동아 같은 잡지를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외계행성 분야의 국제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중
력렌즈 방법을 이용해 지구와 유사한 외계행성을 찾기 위해 ‘외계행성 탐색 시스템 개발’ 사업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5년쯤 뒤인 2014년까지 남반구에 2m급 망원경을 설치해 우리 은하 핵 팽대부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언어인 수학을 알아야 하죠.” 우주론 분야의 세계적 대가인 그의 행보에 이목이 집
중
된다.“기술이 토대가 된 현대 사회에서 잘 살고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과학 과목을 듣는 게 필수입니다. 적성에 맞고 가장 흥분되는 분야에 뛰어드세요 ... ...
이전
1078
1079
108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