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마
제목
화제
과제
테에마
이야깃거리
논제
스페셜
"
주제
"(으)로 총 1,28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방출되며 블랙홀이 서서히 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3년 호킹 복사를 첫 논문
주제
로 택했던 이필진 고등과학원 물리학과 교수는 “(서로 물과 불처럼 상극이던) 중력이론과 양자이론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지 여부는 지금까지도 풀리지 않은 물리학 난제”라며 “호킹 복사는 맞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했다. A Brief History of Time (1998) - Amazone.com 제공 호킹은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질
주제
에 대해 의견을 내는 걸 주저하지 않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시간여행이다. 호킹은 자서전에서 “시공의 배경에서 일어나는 양자요동은 미시 규모의 웜홀과 시간여행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과학 학술대회로, 전세계 석학이 모여 최신 연구 동향 및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관련
주제
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는 자리다. 올 한해 관련 세미나를 비롯해 고든 리서치 컨퍼런스 프로그램 300여 개가 열릴 예정이다. 프로그램 일정 확인과 참여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www.grc.org)에서 할 수 있다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백두산 화산 분화, 남북 과학기술 협력으로 풀자’란
주제
로 열린 국회 과학기술 외교포럼에서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경주와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해 경각심을 줬지만, 여전히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가장 큰 지질학적 사건은 백두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가축화와 초기 쓸모(가축화 이유)라는
주제
는 고고학연구에서 길고도 복잡한 역사가 있다. - 마리아 구아그닌 등, 지난해 11월 16일 ‘인류학적 고고학 저널’ 사이트의에 공개된 한 논문 지난주 금요일 ‘동아일보’ 과학면에 실린 ‘올해 무술년은 황금개의 해가 아닌 황금늑대의 해일수도...’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맑은 날씨 덕에 멋진 장면을 봤으니 행운아들이라는 생각이 든다. 올해 과학카페 첫
주제
는 코너 이름에 맞게 커피의 과학을 다뤄볼까 한다. 에스프레소 베이스 커피의 양대산맥 (표현이 너무 거창한가?)은 카푸치노와 라테인데 둘은 우유와 우유거품의 양이 꽤 다르다. 즉 카푸치노는 우유가 적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미치는 색의 영향에 깔려있는 생리적, 심리적 메커니즘은 이번 연구의 범위를 넘어서는
주제
”라며 빗겨나갔다. 뭔가 그럴듯한 설명을 기대했던 필자는 좀 실망했다. 연구자들은 휴식 공간의 조명으로 LED를 사용했는데, 백색광은 세 가지 LED를 다 켠 상태이고 파란빛의 경우 녹색LED와 빨간색LED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농사로 치면 대풍이다. 과학상 세 부문 모두 대단한 업적인데다 사람들의 관심이 큰
주제
였다(화학상은 아닌 것 같다). 문학상을 받은 가즈오 이시구로 역시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소설을 쓴 일본계 영국 작가다. 그의 대표작 ‘나를 보내지 마’(2005)는 복제인간의 사랑과 슬픔을 그린 일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마음은 고려 대상이 아닌 오늘날 의료체계가 문제라는 것이다. ‘기적의 치유력’의
주제
는 한 마디로 현대 의료체계가 환자 개인의 ‘마음의 힘’을 제대로 인식해 치료 과정에 반영한다면 오히려 치료도 더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뿐더러 그 과정에서 환자 역시 삶의 질이 나아질 수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글래스고대에 들어가 두각을 나타내 핵물리학으로 195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
주제
는 핵붕괴를 측정하는 방사선 계수기 개발로 그가 손재주가 뛰어났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글래스고대에서 강사로 지내며 드레버는 이론물리학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구상하는 재미에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