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스페셜
"
유전
"(으)로 총 2,08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중추신경장애), 샤르코마리투스병(근육위축병) 같은 각종 난치성
유전
병에 대한
유전
자 교정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사람들이 이야기를 꺼내기 전까지는 노벨상에 대해선 가급적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나의 연구 성과를 인정해주는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며 결과는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
유전
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될 때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
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
자변형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박사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춰 크리스퍼가 여러 사람의 삶을 바꾸는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제거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
유전
자 가위 작동원리를 최초로 규명한 분들로 치료제를 개발하든지 장기 이식용 기술을 개발한다든지 획기적인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초 원리를 규명한 사람들은 인정받아야 하고 그걸 활용해서 ... ...
노벨화학상 받은 크리스퍼
유전
자 가위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Pixabay 제공 올해 노벨화학상들은
유전
자 기술의 혁명을 가져온 ‘
유전
자 가위’ 기술인 ‘크리스퍼(CRISPR)’에 돌아갔다. 크리스퍼는 크게 두 가지 구 ... 한계를 극복할
유전
자 교정 기술을 계속 연구해왔고, 지난해에는 ‘프라임 에디팅’이라는 새로운
유전
자 가위 기술도 등장했다. ... ...
아! 아깝다 노벨화학상…펑장 MIT 교수·김진수 IBS 수석연구위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통해 크리스퍼 Cas9
유전
자가위로 인간 배에서 심장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
자를 제거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 ...
유전
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
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
자변형작물(GM)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올해 노벨상 발표는 5일 생리의학상 발표와 6일 물리학상 발표에 이어 12일까지 화학·문학·평화·경제 분야에 걸쳐 차례로 ... ...
노벨화학상에
유전
자 교정 개발한 샤르팡티에·다우드나(1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 ...
쟤는 증상없는데 왜 나만 중증?…코로나 환자별 증상 다른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각광받고 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환자별로 면역반응이 다르게 나타나게 하는
유전
자 발현 패턴을 분석했다. 특히 체내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T세포의 면역반응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논문의 공동1저자인 벤자민 메키프 라호야 면역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T세포는 면역반응을 조정하는 ... ...
[2020 국감] 과기정통부·과기원 주요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연구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
자 표준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다혜 선임연구원, 배영경 책임연구원, 유희민 선임연구원이다. 현재 각 출연연과 대학에서 수행하고 있는 바이러스 관련 연구를 보완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 ...
'간염부터 코로나19까지' 영원한 현역 찰스 라이스
2020.10.06
찰스 라이스(68) 미국 록펠러대학교 교수. 록펠러대 제공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바이러스성 만성질환인 C형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HCV)를 발견한 하비 올터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과 마이클 호턴 ...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세포
유전
자치료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