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더기
뉴스
"
한 단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청계천, 세운상가, DDP... 거리로 나온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한
국과학창의재
단
이 주도하는 ‘대
한
민국 과학창의축전’(대축)은 여름방학이
한
창인 8월에 실내에서 주로 개최됐다. 올해부터는 4월 과학의 달 행사와 함께 거리 곳곳에서 도심형 축제로 거듭난다. 지난해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8 대축의 모습이다. 사진제공
한
국과학창의재
단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비합리적인 생각에도 합리적인 이유 있다
2019.03.31
판
단
은 종종 ‘합리적’인 결과를 낳지 못
한
다. 게티이미지뱅크 ‘늦지 않게 ... 부장님이 보낸 업무 이메일. 간
단한
업무입니다만, 좀 수상합니다. 왜 이런 메일을 굳이 보낸 것일까요? 아무래도 부장은 나를 무시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나를 깔보는 마음으로 ‘너는 이런 수준의 일이나 ... ...
‘과학계 어벤저스’, 7인을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19.03.29
학장을 지내다가 2011년 이후
한
국연구재
단
이사장, 기초과학연구원(IBS) 초대 ...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단
장)는
한
국 생명과학계를 대표하는 학자 중
한
명이다. 2018년 6월에 과학저널 네이처가 선정
한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10인’에도 뽑혔다. 김 교수는 2002∼2003년 세포 안에서 발견되는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끝으로 ‘도착(pinpointing-the-goal)
단
계’로 익숙
한
지형지물과 냄새를 통해 찾는다. ... 있어 외부의 전자기장 영향을 차
단한
다. 그리고 코일이 감겨 있어 선별적으로 전류를 보내 특정 방향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뉴로’ 제공 먼저 자북(magnetic north pole)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자기력선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인간도 가지고 있습니다. 아주 강력
한
데다가 의지로 조절하는 것이 대
단
히 어렵습니다. 뇌의 깊은 곳에 ... 많이 필요할 것입니다. 하지만
단
순
한
것을 좋아하는 과학자들은 우격다짐으로 감정을 분류해냈습니다. 대략 여섯 개 혹은 일곱 개 정도입니다. 원래 과학자는 감정이 좀 메마른 부류라서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발견되는 특별
한
비행근육으로
단
한
번의 신경자극으로도 훨씬 많은 ... 암컷 항공기 탄생이
단
한
종에 불과
한
인간을 전체 생태계를 호령하고 주름잡는 최상위 포식자로 만들었다. 마침내 비행기 날개를 달고 하늘을 날기 시작하면서, 곤충이 날개를 진화시켰을 때처럼 인간은 지구의 모든 지역을 ... ...
반도체 나노막대 사용해 빛 손실 문제 해결
한
초박막 편광필름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방향을 따라 편광 빛을 독특
한
광학 특성이 존재
한
다. 이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막대
한
빛 ... 대체할 수 있는 나노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단
일 나노막대의 편광 특성을 소자 면적 필름에서 구현하기 위해선 나무뗏목처럼 모든 나노막대가
한
방향으로 정렬된 스멕틱 자기조립 구조가 ... ...
제자리 걷는 ‘국가R&D혁신 특별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내용도 포함됐다. 대학 산학협력
단
의 전문성을 높이는 게 대표적이다. 부정행위에 대
한
제재는 강화
한
다. 논문 부정 외에도 다양
한
... 평균 4.7개의 과제관리시스템을 이용
한
다. 이를 하나의
단
일 시스템으로 통합
한
다. 그밖에 매년 제도 개선을 의무화하고 상시적으로 현장 의견을 듣고 개선해 ... ...
타계 1년 지났지만...‘호킹 영향력’은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블랙홀에 빨려간 정보가 사라질 수 있다고 가정
한
것이 양자역학적 기본 원칙과 모순이라는 반론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명확
한
해답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후대 과학자들은 우주 만물을 설명하는
단
하나의 공식인 ‘만물 이론’을 찾으려 노력 중이다. 영국왕립조폐국에서 스티븐 호킹 1주기를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봐왔던 블랙홀의 모습은 모두 상상도다. 그 누구도 블랙홀의 ‘실사’를
단
한
차례도 보지 못했다.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을까. 2006년 전 세계 36개 기관 소속 천체물리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을 동원해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4월, 마침내 그 결과가 공개된다.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