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뉴스
"
지면
"(으)로 총 1,596건 검색되었습니다.
샴페인 딸 때 나오는 연기 색이 다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9.14
샴페인을 저온저장 했을 경우 밝은 회색빛 연기가 나오는데 반해 저장 온도가 높아
지면
푸른색 연기가 형성된다는 연구 결과를 14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샴페인 병 안에는 CO2가 많이 들어 있다. 샴페인을 제조할 때 효모와 설탕을 넣는데, 효모에 의해 알코올발효가 ... ...
파킨슨병 일으키는 유전자 부위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GIB 제공 파킨슨병은 80대 이상에서 3~4% 비율로 발생하는 2번째로 흔한 뇌 신경 장애다. 알츠하이머와 같은 기억력 장애를 일으킬 뿐만 ...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새롭게 찾아낸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개발이 이뤄
지면
향후 파킨슨병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석탄, 첨단기술 만나 청정연료로 대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17.09.11
부과돼 있는 등 제대로 대접을 못 받고 있다”며 “석탄은 오염물질 관리만 잘 이뤄
지면
깨끗하고 지속적으로 쓸 수 있는 안정적인 에너지”라고 말했다 ... ...
[카드뉴스] 신경증 증세는 정신이 나약해서 나타나는 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극단적인 불안 증상과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차는 신체증상을 동반합니다. 증상이 심해
지면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감정적인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까요? 신경증적인 증세는 정신적으로 나약해서 나타나는 것일까요? “저는 다른 사람들과 있으면 ... ...
[사이언스 지식iN] 북한의 6번째 핵실험...수소폭탄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징후를 미리 알아내려 하는 정도입니다.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일단 핵실험이 이뤄
지면
지진파를 탐지해 핵실험 실시 여부와 위력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지하에서 핵실험을 하면 그 충격으로 지진파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핵실험 등으로 인한 인공지진은 자연지진에 비해 지진파 중 종파(P파 ... ...
[카드뉴스] 거짓말 잘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8.30
어떤 존재가 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의 감각이 자신의 것처럼 느껴
지면
, 우리는 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좋은 거짓말은 진실에서 아주 조금만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속은 걸 알아차리더라도 기분 나빠하지 않을만한 거짓말이어야 합니다. 누군가에게 ... ...
고등학생이 발명한 '쓰러져도 물 흐르지 않는 페트병 마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단단하게 고정하고, 안쪽 마개(이동부)는 페트병 내부 액체에 인위적인 압력이 가해
지면
움직일 수 있게 만들었다. 바깥 마개와 안쪽 마개의 측면에는 각각 다른 위치에 유체가 흘러나올 수 있는 큰 구멍이 뚫려 있는데, 안쪽 마개가 병 입구 쪽으로 이동해야 구멍의 위치가 맞아 떨어져 내용물이 ... ...
스타크래프트 2, 인간이 인공지능을 이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4
5명으로 구성된 다른 팀과 5:5로 대결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참여자가 많아
지면
인공지능이 고려해야 할 사항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여러 명이 팀을 이뤄 게임하는 상황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공지능의 실력을 높이는 것이 관건입니다. 블리자드 제공 ... ...
[ESC의 목소리 (16)] 미래의 과학교육을 생각한다
2017.08.07
ESC)가 주관한 '과학과 기술이 즐거운 나라‘ 포럼 중 과학교육 파트를 맡아 발표했다. 이
지면
을 빌어 그날의 이야기를 다시 전해보고자 한다. 1. 학생중심 교육과정 "우리는 역사상 어느 때보다 여러 가지 지식을 갖고 있지만, 역사상 어느 때보다도 미래를 예측할 능력이 적은 시대를 맞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인한 냉각효과가 상쇄된다. 결국 피부의 수분은 제대로 증발되지 못해 쌓이고 양이 많아
지면
땀방울로 흘러내리게 된다. 즉 증발로 인한 냉각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체내 수분만 잃게 되는 셈이다. 이처럼 피부에 땀이 번들거리게 되면 그 무게로 인한 약간의 압력이 습도로 느껴지게 된다. 아울러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