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뉴스
"
입자
"(으)로 총 2,877건 검색되었습니다.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1.05.10
일정하고 측정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이물질이 거의 없다. 연구팀은 해당 지역에서
입자
의 지름이 30~350µ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인 우주소구체(대기를 통과하며 녹은 미세운석) 808개와 얼어 있는 미세운석 조각 1280개를 수집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지구 전체에 같은 양의 우주먼지가 ... ...
독일 "백신 생산제약 요소는 생산능력과 품질기준...혁신의 원천 특허 보호해야"…미 지재권 면제 반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기업 입장에서는 쉽게 지재권 면제에 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나노
입자
제작 기술 자체는 뛰어난 만큼 mRNA 백신에 특화된 LNP 정보가 공개된다면 짧은 시간에 mRNA 백신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대한백신학회 연구이사)는 “인체 감염을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05.06
단위 부피당
입자
수)를 가진 태양풍이 초속 400km로 불어오는 상황을 가정하고 태양풍 속
입자
들이 목성의 자기장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때 오로라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했다. 목성 탐사 위성 ‘주노’의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네이처 제공 그 결과 목성의 극지역은 우주로 ... ...
코로나 백신 지재권 보호 해제 WTO 본격 논의…백신강국 그래도 여유 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5.04
생산 중인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은 주성분인 mRNA와 이것을 감싸서 보호하는 지질나노
입자
(LNP)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백신 수요가 급격히 늘자 이를 만들 수 있는 재료들의 공급도 부족해지고 있다. 의료 공급망 전문가인 프라샨트 야다브 유럽경영대학원(INSEAD) 교수는 "재료 공급 ... ...
또 드러난 코로나의 면역 회피, 인간의 RNA 변형 효소도 이용
연합뉴스
l
2021.05.04
면역반응을 피해야 하는 첫 번째 단계에선 METTL3가 필요하다"라면서 "하지만 왕성하게
입자
복제가 이뤄진 후인 두 번째 단계에선 METTL3를 억제하는 게 바이러스에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m6A 수위를 조작하면, 코로나19 환자에게 이로운 선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ATCG가 아니라 ZTCG로 이뤄진 바이러스
2021.05.04
○ 박테리아 방어체계 무력화 지상의 미생물체인 남조류(시아노박테리아). 우주론과
입자
물리학회지 제공 먼저 박테리아의 방어에 대한 대응일 수 있다. 박테리아는 DNA 가닥의 특정 염기를 인식해 자르는 ‘제한효소’로 침투한 바이러스의 게놈을 파괴한다. 그런데 제한효소 대다수는 dZ-DNA ... ...
20년전 시작한 액상수소 저장 연구 기술 이전으로 결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4
귀금속 촉매를 지름이 10nm보다 작게 만드는 공정을 개발했다. 작은 나노
입자
촉매를 만드는 공정은 공정과정이 복잡하고 합성 조건이 까다로워 대량생산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었다. 하지만 극한소재연구센터가 개발한 공정은 상온에서 가능하고 공기 접촉 여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 나노 ... ...
잉크젯 프린팅 공정 커피링 현상, '와인의 눈물'서 힌트 얻어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3
물방울을 섞어주게 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에탄올과 물을 3대 7로 섞은 용매에 미세
입자
를 넣고 밀폐를 시켰을 때와 그렇지 않을때를 비교해본 결과 커피링 자국이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 위에서뿐 아니라 실리콘 기판 위에서도 효과는 그대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증발 ... ...
화학연-이노엔,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1상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선별하고, 이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바이러스 단백질 조각을 만든 뒤, 나노
입자
형태로 인체에 주입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과 주변 당 분자를 제조해 보조 물질과 함께 투여한다. 이 단백질 백신을 ... ...
2024년 한국형 양자컴퓨터 첫 선…대덕특구 '또다른 50년' 청사진 그린다
2021.04.30
수 있는 양자컴퓨팅이나 양자통신을 가능케 하는 혁신기술이다. 에너지의 최소 단위
입자
로 불리는 양자는 ‘0’과 ‘1’로 데이터를 변환해 정보를 처리하는 기존 디지털 방식의 기술과는 다르다. 디지털 기술에서는 ‘0’과 ‘1’을 나타내는 단위인 ‘비트’로 정보를 처리하지만 양자 기술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