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뉴스
"
원자
"(으)로 총 2,4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연구자에게 듣는 핵융합 에너지의 현재와 미래
과학동아
l
2021.01.12
위해 필요한 고온의 ‘플라스마’를 만들고 유지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플라스마는
원자
핵과 전자가 분리된 물질의 제4상태로 이런 환경 안에서 두 핵의 융합 가능성이 높아져 반드시 달성해야 할 조건으로 꼽힌다. 지난해 12월 핵융합에너지연이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를 이용해 ... ...
수소 생산량 늘리는 따개비 닮은 촉매
2021.01.11
결정 구조를 구현하고 3층으로 쌓아올렸다. 촉매 반응은 반응물이 촉매 표면에 노출된
원자
인 활성점에 붙어 반응한다. 이산화타이타늄 결정 구조는 촉매 활성점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함가현 GIST 지구 및 환경공학부 박사과정생은 “코발트 촉매는 원래 비활성화한 점이 있는데 전압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머신러닝,
원자
의 속살을 드러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9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지금까지 실험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새로운
원자
구조를 미리 예측하고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기법은 양자 수준의 구조와 안정성, 물성을 밝혀낼 뿐만 아니라 아직 확인되지 않은 현상을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향하는 3중 나선구조의 모형을 만들었다. 마치 레고 블록을 조립하든 금속으로 만든
원자
조각들을 이리저리 끼워 맞추는 작업이었다. 윌킨스와 프랭클린도 이 모형을 보았으나 특히 프랭클린은 이 모형이 자신의 회절사진 결과와 맞지 않음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결국 삼중나선모형은 실패했고 ... ...
[랩큐멘터리] 금속과 산소의 결합 단단한 스마트 세상 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보여 고성능 스위치 소자나 민감한 센서에 활용된다. 연구실은 아주 얇은 산화물층을
원자
단위로 쌓아올리고, 이를 엑스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진공장비를 구축했다. 다양한 산화물 소재를 마치 레고 쌓듯이 설계한 대로 원하는 두께와 층으로 쌓아 올리는 것이다. 나노미터 단위에서 ... ...
[소재의 미래]⑻이산화탄소는 에틸렌으로, 산소는 전기로…‘꿈의 전기차’ 향해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소자를 이용해 수십 초 만에 충전 가능한 기술도 개발했다. 소듐이온 하이브리드 전지,
원자
틈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전기화학 촉매, 공기 중 산소로 충전되는 리튬-공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소자 등 그간 친환경 배터리 기술의 혁신을 이끌어왔다. 강 교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처리 산업에 쓰이는 '막'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nm 크기의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을 관찰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물질에 조사해
원자
구성을 알아내는 현미경이다. 이 관찰결과를 기반으로 3D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의 밀도를 지도화했다. 밀도에 따라 물이 얼마나 투과되는 지도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밀도 요동이 물 투과 정도에 큰 ... ...
[인사] 한국
원자
력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레이저응용연구실장 박현민 △사업기획실장 송이영 △플랜트종합실장 이종민 △
원자
력수소연구실장 김찬수 △가속기동위원소개발실장 박정훈 △기술전략실장 이동은 △연구평가팀장 이종희 △국제협력팀장 정성현 △총무팀장 강래경 △인사전략팀장 박중승 △지역협력팀장 이현정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급 전보 △원천기술과장 이준배 △
원자
력연구개발과장 권기석 △성장동력기획과장 정재욱 △사이버침해대응과장 최미정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비유했다. 휴대전화 액정과 보호필름처럼 그래핀과 반도체 소자 사이에 산소
원자
와 같은 이물질이 끼면서 결함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병훈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홍덕선 제공 그는 이런 문제를 진공 상태를 통해 해결했다. 이 교수는 “휴대전화 액정에 보호필름을 붙일 때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