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00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플래니건 교수는 “산불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선 없다”고 단정했다. 산불의
세기
가 너무 강해 진화를 할 수 없고, 산불이 스스로 모든 것을 태우고 바다에 다다르기 전까진 막을 수 없다고 봤다. 그는 “지금 무언가를 해도 불타오르고 있는 캠프파이어에 침을 뱉는 격”이라며 “산불을 ... ...
[애니멀리포트] 초원수리 민은 어쩌다 통신요금 폭탄을 맞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04
이용한다. astinkim1030 제공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 흰머리수리는 20
세기
들어 살충제(DDT)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했지만, 보존 활동으로 지금은 개체수가 회복됐습니다. 연구자들은 시민들과 함께 흰머리수리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2015년 앤드류 덴하르트 미국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
2020.01.03
미국립보건원(NIH)은 전세계 의생명과학자들에게 일종의 표준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20
세기
의생명과학을 중심으로 미국이 전세계 과학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의생명과학분야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NIH의 정책들은 직간접적으로 전세계 국가의 과학정책에 영향을 미쳐왔다. 특히 NIH의 상향식 ... ...
"'한강에서 썰매타기' 앞으로는 불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즐기려는 서민들로 붐비던 겨울왕국이었다. 이런 정겨운 겨울 강가 풍경은 반
세기
가 지난 지금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 미국 과학자들은 겨울철 꽁꽁 언 강의 모습을 점점 더 보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놨다. 전 세계 강이 해마다 점점 덜 얼고 있다는 분석 결과다. 미국 ... ...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01.01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
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니다. 133km² 넓이의 땅에 헬리콥터 1 ... ...
"유아동 시설 전자파 노출량 기준치 만족"…5G기지국 설치지역도 부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전자파 측정을 했다.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강한
세기
의 전자파를 막기 위한 기준치로 이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대비 1~2% 수준이면 극히 낮은 수준이라는게 국립전파연구원의 설명이다. 먼저 온수매트 등 ... ...
[과학도서]바닷 속 보물선은 누구 것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34권이 발간됐다. KIOST 제공 지난 1976년 전남 신안군 앞바다에서 보물선이 발견됐다. 14
세기
초 중국과 한국, 일본의 바다를 항해했던 교역선으로 추정된다. 발견 이후 9년동안 11차례에 걸쳐 보물 발굴이 이뤄졌다. 발견된 도자기만 2만여점이다. 13~14
세기
남송에서 원대에 걸친 도자기 연구에 새로운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폐허로 만든다. 백두산에서 분출한 화산재는 남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10
세기
에 발생한 백두산 밀레니엄 분화 때 화산재는 동해는 물론이고 일본까지 날아갔다. 당시 나온 화산재를 모으면 남한 전역을 1m 높이로 덮을 수 있을 수준이었다. 높이 날아간 화산재도 문제다. 떠오른 ... ...
인류의 미래 내게 달렸쥐∼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흑사병이 발병해 쥐에 대한 두려움이 확산되기도 했다. 하지만 쥐가 없었다면 지난 한
세기
동안 생명과학의 진보는 쉽게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평가가 더 많다. 쥐가 과학자들의 눈에 들어온 건 19
세기
말이다. 일부 학자들이 질병 메커니즘과 치료 방법을 찾는 데 쥐를 본격적으로 ... ...
양자우월성 달성하고 블랙홀 찍고…BBC가 뽑은 올해 대단한 스토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를 제시한 이후 한
세기
만에 이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해왕성 너머 태양계 외곽 카이퍼벨트의 소천체인 울티마 툴레(2014 MU69)의 새로운 고화질 영상이 24일(현지 시간) 공개됐다. 최근접지점에 접근하기 7분 전 6700㎞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