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관찰"(으)로 총 3,6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열분 제가 정@훈님에 대한 애니를 만들까요 말까요포스팅 l20230118
- 예 굳이 정@훈님 기죽이고 싶지 않아요만들고 싶다기에 만드는 겁니다(물론 찬 많으면)제가 관찰한 피해에 따르면정.훈님이 리%님과 홍#님(맞나...?)솔로저쩌고어쩌고 말한걸 봤구요Ai드립최@욱님이 Ai 기자에게 저격글 기대에 대하여 찬한게최.욱님(추측)한테 피핼 준겄 같아요쨌든 님은 찬/반? ...
- 고양이가 액체라는 사실로 이그노벨상을 받은 과학자기사 l20230118
- 이유로 고양이가 액체라는 설을 주장했습니다. 파르딘 박사는 '데보라 수'를 설명했습니다. 데보라 수는 물체가 흐르는 시간을 관찰 시간으로 나눈 값인데 데보라 수가 1보다 크면 고체,1보다 작으면 액체입니다. 고양이의 경우 뛰는 고양이는 형태가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보다 커서 고체지만,위 사진처럼 병 등에 들어간 고양이는 수 분이상 관측했을 ...
- 2023년 첫 탐조 (탐조책방과 함께한 수원새산책)기사 l20230117
- 찍혀있고 거기 앞에는 쪼아먹은 것 같은 모과열매가 있었는데 그게 신기했습니다. 일월저수지를 일년동안 관찰하면 70여종의 새를 관찰할수 있다고 하셔서 올해는 꾸준히 탐조활동도 해 보자고 부모님과 애기를 나눴습니다. 탐조를 끝내고 탐조책방으로 구경을 갔습니다. 온통 새에 대한 책과 그림으로 가득찬 곳이였습니다. 그곳에서 새도감을 하나 ...
- 왕종개는 부레가 있을까?기사 l20230115
- 왕종개는 부레가 있을까? 글•사진 차다현 왕종개 채집 창원의 한 하천 작년 12월, 창원의 한 하천을 찾았다. 보를 기준으로 아래는 기수 지역으로 해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였고, 보의 위쪽은 담수의 영향이 있는 지역이였다. 왕종개(Iksookimia ... 채병수, 송호복, 박종영, 조성장 Two new species of cobitid fi ...
- 걸을 수 있는 나무를 소개합니다.기사 l20230112
- 안녕하세요 박수애 기자입니다. 다들 방학 생활계획표 잘 만들었나요? 계획표는 역시 접시를 대로 그려야 최고 잘 됩니다. 저는 2학기에 방과후 교육에서 만지면 잎을 접는 미모사를 배우다가 걸을 수 있는 ... 살고 있다고 하는데, 검색해 보니까 서울식물원(서울시 강서구 마곡동로 161)안에도 워킹팜이 걸어다니고 있으니 관심있는 분은 관찰하러 ...
- 2020곤충탐사대 - 221209 - 2탐사기록 l20221209
- 봄에 지사탐 개나리 미션때 관찰했던개나리의 겨울눈이예요~ ...
- 10기 수료증 발송 안내탐사기록 l20221125
- 10기 대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주말 지사탐 10기 수료식이 무사히 끝이 났습니다. 현장에서 수료증을 직접 받아가지 못한 분들은 다음주 중으로 수료증과 선물을 배송해드릴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10기의 활동은 다음 기수의 활동이 시작되기 전까지 계속됩니다~! 겨울에도 관찰하는 생물들이 있다면 꼭 탐사기록으로 남겨주세요^ ...
- 롯데케미칼 인턴 후기기사 l20221123
- 1미터)밖에 안 되기 때문에 일정 배율 이상까지 올라가면 물건을 더 확대할 수 없었습니다. 반면에 전자 현미경은 전자를 쏴서 물체를 관찰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래서 최대 80만배 배율까지 확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가시광선으로 볼 수 있는 것 이상까지 확대하기 때문에 흑백으로 보였습니다. 현미경실을 나온 후엔 플라스틱 공장에 갔습니다. 플라 ...
- 지사탐 10기~ 모두 모이세요!! (지사탐의 꽃 수료식 +시민과학 페스티벌)기사 l20221120
- 못하면 어쩌나 엄청 걱정도 하고 많이 떨렸지만 무사히 발표를 마쳤습니다. 제비둥지를 지켜야 한다는 누나의 애기, 숲을 더 열심히 관찰했다는 동생의 애기, 함께 오랜시간 탐사를 같이 진행한 형들의 이야기는 너무나 흥미로웠습니다. 시민과학자와의 소통시간은 부스와 포스트로 이루어졌습니다. 닥터구리 팀의 낙엽잎을 이용한 책갈피 만들기, 솔방울을 이용해 ...
- 개기 월식과 천왕성 엄폐를 관측하며기사 l20221109
- ------------------------------------ 엄폐 현상이란, 한 천체가 다른 천체를 가리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 날에는 달이 천왕성을 가리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즉 천왕성 엄폐를 보았습니다. 천왕성 엄폐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